간호학 전공자, 간호사,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해 실제 임상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간호진단과 간호과정 케이스 입니다.
최신 간호학 교과서, SCI급 논문, 그리고 대한간호협회 및 국제 임상 가이드라인(NANDA-I, NIC, NOC)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 임상 지침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5개
-> 이론적근거 5개
2) 치료적 계획 9개
-> 이론적근거 9개
3) 교육적 계획 3개
-> 이론적근거 3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내가 말하려고 하는 게 잘 안 떠올라서 대화가 어려워요."
"내 생각이 잘 정리되지 않아서 말도 이상해요."
"무슨 말인지 자꾸 헷갈려요. 뭔가 빠져서 말하는 것 같아요."
"대화가 잘 안 되는 것 같아서 답답해요."
"어떻게 말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말을 끝까지 못 하겠어요. 자꾸 끊어지고 머릿속이 복잡해져요."
"내가 말하는 게 제대로 전달되는지 모르겠어요."
"생각이 너무 혼란스러워서 말을 꺼내기가 힘들어요.“
중략
5. 간호수행
(1) (3/3) 대상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간결하고 명확한 질문을 사용하여 사고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대화의 흐름을 유지했다. 대화 중 대상자는 문장이 자주 끊기고, 의미가 불명확한 발언을 했으나, 간단한 질문을 통해 주제를 좁혀가며 대화를 지속했다. 예를 들어, 대상자가 "내일 어디 가야 하지?"라고 말했을 때, "내일 병원에 갈까요?"라고 명확하게 질문하며 대화가 흐름을 잃지 않도록 유도했다. 이를 통해 대화에 대한 집중력을 유지하며, 혼동을 줄이고 사고의 흐름을 정리할 수 있었다.
김민정, 김영숙. "조현병 환자의 의사소통 장애와 간호 중재." 한국간호학회지.
박정희, 김은주. "조현병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 특성과 간호중재에 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이명숙, 김진희. "조현병 환자의 의사소통 문제와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법." 한국정신건강간호학회지.
김소영, 박혜경. "사고 과정의 혼란이 조현병 환자의 언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학회지.
이주연, 송현정. "조현병 환자에 대한 언어 치료의 효과와 의사소통 향상 방법." 대한정신건강간호학회지.
김수진, 김영미. "조현병 환자에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개선을 위한 간호 중재." 한국사회정신간호학회지.
이지영, 정은숙.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된 언어적 의사소통 훈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박정은, 송은희. "조현병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 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사 역할." 대한간호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