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초과근무 실태
보육교사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법적 지원 강화
이에 따라 보육교사들의 초과근무 문제를 해결하고 근무환 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찬성 입장 : 보육교사 초과근무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물론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하지만,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 보육의 질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보육교사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법적 지원 강화
이에 따라 보육교사들의 초과근무 문제를 해결하고 근무환 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유아보육뿐만 아니라 교육계획 수립, 학부모 상담, 행정업무, 시설관리, 급식 및 위생관리 등 여러 가지 부수적인 업무가 포함되며, 이에 따라 정해진 근무시간 내에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일부 보육기관에서는 낮은 교사대 아동비율로 인해 초과근무가 필수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행정업무와 부모 상담으로 인해 퇴근 후에도 업무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보육교사는 보육일지 작성, 교육계획 수립, 안전점검 보고서, 학부모 소통자료 등 다양한 행정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보육교사들이 휴식시간을 가지거나 병가를 사용할 경우 이를 대체할 인력이 부족하여 남은 교사들이 추가 업무를 떠안는 경우가 많다.
보육교사들은 수시로 학부모와 소통해야 하며, 특히 일부 부모들은 개별적인 상담이나 추가적인 피드백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학부모 응대 업무가 업무시간 이후까지 이어질 경우, 초과근무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보육보조교사를 확충하여 보육교사 1인당 업무 부담을 줄이고, 보육교사가 본래의 교육·보육 역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부모들은 보육교사에게 많은 것을 기대하는 경향이 있어, 단순히 근무시간을 줄인다고 해서 보육환경이나아지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