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활동부족 간호진단] 양극성장애 대상자의 여가활동부족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

1. 여가활동부족.hwp
2. 여가활동부족.pdf
양극성장애 여가활동부족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

책, 논문, 임상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접근을 통해 작성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간호계획
(1) 진단적 계획 5개
(2) 치료적 계획 5개
(3) 교육적 계획 7개
2)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근거 5개
(2) 치료적 근거 5개
(3) 교육적 근거 7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요즘에는 외출할 생각을 하면 너무 피곤하고, 그냥 집에서 쉬고 싶어요. 나가기가 너무 귀찮아요."
(2) "예전에는 친구들이랑 자주 놀았는데, 이제는 그럴 마음도 안 생겨요. 그냥 혼자 있는 게 편해요."
(3) "취미생활을 전혀 하지 않고 있어요. 책을 읽는 것도 귀찮고,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아요."
(4) "밖에 나가서 활동을 하는 것 자체가 이제 너무 힘들어요. 에너지가 다 빠져 나가는 기분이에요."
(5) "한동안 산책도 자주 했었는데, 요즘은 나갈 마음이 전혀 안 들어요. 그냥 집에 있는 게 더 나아요."
(6) "이런 상태가 계속되면 내가 뭘 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어요. 여가활동은 없고, 하루가 그냥 지나가는 느낌이에요."
여가활동부족, 여가활동부족 간호진단, 여가활동부족 간호과정, 여가활동부족 간호중재, 여가활동부족 이론적근거, NANDA, 양극성장애, 양극성장애 케이스, 양극성장애 간호진단, 양극성장애 간호과정
- 김희정, 김영희. 양극성 장애 환자의 여가활동 참여와 정신 건강 회복. 한국간호학회지, 47(3), 254-261.
- 이경숙, 정은정.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여가활동이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4(2), 134-141.
- 박선영, 최은경. 양극성 장애 환자의 여가활동 부족과 우울 증상의 상관관계. 한국정신건강간호학회지, 25(4), 365-372.
- 김주희, 김지혜. 양극성 장애 환자의 여가활동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대한간호학회지, 48(4), 487-494.
- 이진숙, 오은정. 양극성 장애 환자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고립. 한국사회복지학회지, 42(1), 23-30.
- 강미숙, 임선영. 양극성 장애 환자의 정신 건강과 여가활동의 관계. 간호학회지, 58(2), 145-153.
- 정미선, 황순아. 양극성 장애 환자의 여가활동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신건강학회지, 22(3), 167-175.
- 김미라, 박소연. 양극성 장애 환자의 여가활동 부족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31(2), 212-218.
- 최은정, 박지현.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여가활동이 치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32(1), 104-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