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성

1. 부모교육 필요성.hwp
2. 부모교육 필요성.pdf
부모교육의 필요성
신체적 발달과 부모의 영향
사회·정서발달과 부모의 영향
인지 발달과 부모의 영향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어린이의 입장, 부모의 입장, 사회의 입장으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최근에 신체적 발달에도 부모의 양육태도 및 방법이 영향을 준다는 일련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들을 정신적으로 후원하고 또 자신을 갖고 자녀 양육을 하도록 도와줄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부모의 입장
사회의 입장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어린이의 입장, 부모의 입장, 사회의 입장으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obbing과 Sands의 연구(1975, Lewin, 1975:30 재인용)에 따르면, 인간의 뇌 발달은 유전적 정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만이 아니라 후천적 요인, 즉 영양과 환경적 자극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한 인간의 뇌가 갖고 있는 가능성은 결정적 시기인 만 두 돌이내에 최대로 계발되기 때문에 적절한 영양과 환경적 자극을 주어야 한다.
발달은 약 임신 20주부터 oligodendroslia가 생기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 둘째 단계는 만두 돌까지 발달이 계속되는데 이 시기는 뇌세포의 성장이 가장 빠른 시기이다.
가정은 가장 처음의, 가장 중요한 기본 교육체계이다."라는 기본적 신념을 가지고 갓난아기를 여러 번에 걸쳐 종단 연구한 White는, 부모의 양육 태도야말로 아동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가장 강력한 요인이며 생후 3세 이전의 경험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Harlow는 원통형의 철사 엄마와 보풀거리는 두꺼운 천으로 싼 헝겊 엄마를 8곳의 실험실에 마련하고 새로 태어난 원숭이들을 각 방에 넣어두었다.
Bronfenbrenner(1976)는 보상교육 프로그램 중 대표가 될 만한 7종의 프로그램의 효과를 연구한 결과 이 보상교육을 받은 첫 해 동안 아동의 IQ는 괄목할 정도로 증가하였으나 프로그램을 떠나 상급학교로 진학한 후에는 그 효과가 사라졌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와 같이 4, 5세에 시작한 보상교육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던 것에 대해 Bower(1983:182)는 시작 시기가 늦었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만 3세 이전부터 부모의 적극적 참여로 실조 경험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함을 강조한다.
보상교육은 4, 5세보다 이론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며, 보상교육을 하기보다는 아기가 태어나는 즉시부터 부모가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자극을 줌으로써 지적 발달에 실조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최근의 학문적 경향이다.
따라서 젊은 부모들은 양육 모델을 갖지 못한다는 문제 이외에도 사회이동으로 인한 독특한 문제에 봉착하였다.
이들을 정신적으로 후원하고 또 자신을 갖고 자녀 양육을 하도록 도와줄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질적 수준이 높은 인적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유아기 때 교육투자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유아들을 가장 효율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는 교사는 부모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현대사회의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핵가족화는 가족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하여 ․ 가정의 전통적 문화 전달 및 교육의 기능이 약화되어 현대사회에서 부모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부모 참여 없이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과의 일관성, 연계성이 없어 유아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없으므로 부모 참여를 위해서라도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가족치료/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양서원/2017
부모, 교육, 발달, 사회, 시작, 역할, 가정, 자녀, 아동, 연구, 때문, 의하다, 받다, 효과, 되어다, 영향, 늘다, 중요하다, 환경,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