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수정이론] 행동수정의 원리

1. [행동수정이론] 행동수정의 원리.hwp
2. [행동수정이론] 행동수정의 원리.pdf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시키기 위한 원리
바람직한 행동을 발달시키기 위한 원리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중단시키기 위한 원리
대체 행동의 강화 원리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하는 원리는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로 구분된다.
자녀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포화원리, 소거원리, 대체행동의 강화원리, 부적 강화 등을 활용한다.
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행동이 향상되었을 떼 즉각적으로 혐오스러운 상황이 끝나도록 조정해야 한다.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시키기 위한 원리
바람직한 행동을 발달시키기 위한 원리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중단시키기 위한 원리
대체 행동의 강화 원리
이러한 행동수 정 원리에 따라 자녀 양육의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데, 주로 목표 행동을 선정하고 기록하여 목표에 부합하는 강화와 체벌을 사용한다.
행동수정 이론에서 제시된 원리를 요약하면 1/바람직한 행동을 강화시키는 원리, 2/바람직한 행동을 발달시키기 위한 원리, 3/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중단시키기 위한 원리, 4/정서적 반응을 수정하기 위한 원리의 네 가지로 집약되는데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하는 원리는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로 구분된다.
바람직한 행동을 한 후에 후속 자극, 즉 아동이 좋아하는 보상을 띤 강화물을 제공하여 바람직한 행동의 발생률은 높이는 기법이다.
바람직한 행동 발달의 원리는 점진적 접근 원리, 모방원리, 신호제시 원리, 변별 원리 등으로 자녀에게 새로운 행동을 가르치고 이러한 새로운 행동발달을 유도하는 기법을 말한다.
아동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하게 하려면 잘못된 행동을 저지른 후보다는 그 행동을 하기 바로 직전에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신호를 주어 기억시키는 것이다.
특정 상황에서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하도록 가르치려면 상황을 구별하는 신호를 발견하도록 도와주고 그의 행동이 그 신호에 적합한 때에만 강화를 해준다.
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그만두게 하려면 그 행동에 싫증이 날 때까지 계속하도록 허용하거나 강요해야 한다.
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치고자 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과 모순되어 그 행동과 동시에 수행될 수 없는 대체적인 행동을 강화해야 한다.
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행동이 향상되었을 떼 즉각적으로 혐오스러운 상황이 끝나도록 조정해야 한다.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이웅저 /한국교육기획/2009
행동, 원리, 바람직하다, 강화, , 아동, , 발달, 상황, 이론, 가르치다, 수정, 새롭다, 중단, 공포, 행동수정, 기법, 제시, 형성,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