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결 단계는 사회복지사의 개입활동을 계획에 따라 마무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클라이언트가 과도하게 사회복지사에게 의존하게 되었을 경우 종결에 따르는 만족도는 낮아지게 된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정서적 반응을 잘 다루어야 한다.
시간 제한적 방식에 의한 계획된 종결은 초기부터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개입의 시간을 미리 제한하고 시작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충분한 진전이 있다고 판단되면 클라이언트에게 종결에 대하여 언급하도록 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가 목표 달성에 대한 만족감을 표현하면 사회복지사는 종결 계획을 함께 논의한다.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는 종결과정 동안 흔히 상실감을 경험한다.
사회복지사가 기관을 떠나면서 종결한다면 클라이언트는 종종 슬픔을 경험하기 전에 다른 반응을 표현한다.
사회복지 실천 과정에서 종결의 유형과 반응, 종결 반응을 다루는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종결 단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시오.
III.종결에 따른 반응
긍정적 종결 반응
종결 단계에서의 목표는 클라이언트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부딪힐 문제들을 극복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를 강화시키는 데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목표가 성공적으로 달성되었을 경우에는 사회복지사나 클라이언트가 모두 긍지와 만족감을 갖고 종결을 준비하게 된다.
적절한 종결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개입 목표의 달성 정도, 서비스 시간 내 제공 완료 여부, 클라이언트의 문제 상황의 해결 정도, 사회복지사와 기관의 투자 노력, 더 이상의 만남이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에 대해 합의, 클라이언트의 의존성, 클라이언트에 대한 새로운 서비스의 적합성 여부(의뢰)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복지사가 이직 등으로 인해 클라이언트를 떠나가게 될 경우, 클라이언트의 정서적 반응을 잘 다루야 할 것이다.
사례가 종결되었지만 클라이언트에게 새로운 서비스가 더 필요하거나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는 경우 의뢰한다.
종결의 유형은 시간 제한에 의한 계획된 종결, 시간 제한이 없는 종결, 일정기간만 제공되는 계획된 종결, 목표 달성에 의한 종결, 개입 중단으로 인한 종결 등이 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간 제한적 방식에 의한 계획된 종결은 초기부터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개입의 시간을 미리 제한하고 시작하는 것이다.
시간 제한은 미리 정해지기 때문에 종결과정에서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사회복지사가 개입을 결정할 때 시간 제한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세우게 되며, 이를 개입 초부터 클라이언트에게 통보한다.
이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동의가 있을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와 함께 종결에 대한 계획을 세우도록 한다.
개입의 목표가 정해진 기간 내에 달성되었기 때문에 종결하는 경우로 가장 이상적인 종결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저항감을 느끼는 이유는 자기 문제를 제3자에게 논의하고 원조를 청한다는 사실에 대한 굴욕감일 수도 있고 사회복지사의 어떤 면에 기분이 상했을 수도 있고 사회복지사의 원조 능력을 의심하거나 자기 문제에 대한 절망감 때문일 수도 있다.
사회복지사에 의한 종결의 다른 이유로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개입이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클라이언트가 비협조적이고 냉소적이 며 변화에 대한 동기나 기대가 전혀 없어 개입 노력이 무의미하다고 생각될 때이다.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