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본주의의 황금기를 거치면서 비로소 사회복지 정책은 복지국가의 보편주의를 지향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은 각국이 사회보험을 중심으로 하는 복지국가로 발전하는 토양을 형성하였다
복지국가가 태동하는 데는 사회보험 이외에 다른 영역에서의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Gilbert&Terrell.2005). 산업사회에서의 부작용으로 인한 질병, 노령, 사망, 실업, 사고 등의 사회적 위험들로 노동시장에 참여할 수 없게 된 사람들이 빈곤에 처하자 공적으로, 항상적으로, 예방적으로, 제도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으로서 일련의 사회보험제도들이 도입되었다.
Gilberf&Terrell, 2005).이처럼 사회보험제도의 도입은 보통 사람들에게 보험 혜택에 대한 합법적인 청구권(사회권)을 보장한다는 것인데, 이로 인해 사회보험은 현대인의 삶에 있어서 필 수적인 권리가 되었다.
사회보험은 대부분의 서유럽 국가에서 제1차 세계대전 이전에 도입되었고 미국은 1930년대 경제공황을 겪으면서 도입하였다.
그러나 케인즈주의적 국가개입을 통해 자본주의의 본질적 문제인공황과 경기변동을 조절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정치적 안정과 완전고용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로써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영국의 복지국가 이념이 구체화되었다.
즉, 이 시기의 복지국가는 복지제도의 포괄성, 복지 수혜자의 보편성, 복지혜택의 적절성 등 복지국가 발전의 성숙기를 만들었다.
한국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 /이준우저, 파란 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행정 실무 : 이세형저, 양성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