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적 자조정신은 사회보험의 관리 형태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사회보험 당사자가 모든 운영에 관한 사항을 자주적으로 결정하고 있다.
대표자 충회는 사회보험 조직의 최고 의결기관이 된다.
그리고 사회보험은 국가가 일정한 보조금을 지불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성격이 보다
사회보험은 보험에 가입하거나 가입하지 않은 보다
세계적으로 사회보험의 효시인이 노동자보험은 그 후 연대성의 범위가 국민 전체로 확대되어 오늘날에는 직역별로 제도화되어 있다.
종전 특정 집단 내의 동일세대에 제한되어 있던 연대성 의 원칙이 부과방식의 도입에 따른 연금보험의 세대간 계약원칙에 따라서 세대 간으로 확대되었다.
집단적 자조정신은 사회보험의 관리 형태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사회보험 당사자가 모든 운영에 관한 사항을 자주적으로 결정하고 있다.
물론 이 의도는 폐질 및 노령보험에서 부분적으로 실현되긴 하였지만, 전체적으로 사회보험의 관리는 사용자와 피보험자가 선출한 대표자에 의해서 자주 관리되는 이른바 자치의 원칙이 확립되었다.
집단적 자조에 바탕을 둔 자치의 원칙은 독일 사회보장제도의 특징이자 장점이긴 하지만 동시에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를 제기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독일 사회보장제도의 조직화 원리는 보험의 원리. 부조의 원리, 보상의 원리 등 3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사회부조의 바탕이 되고 있는 부조원리는 급여에 대한 법적 권리가 보장되어 있지 않고 원인에 따라서 급여를 신청한다는 점에서 보험원리나 보상 원리와 차이가 있다.
이 부조 원리는 어떤 손실이 발생했거나 곤궁한 상태가 생겼을 때 니즈(needs)에 대한 조사를 거친 후에 일반재정에서 급여를 받게 되는데 사전에 보험료 등을 낼 필요가 없다.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