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이집트
이집트 정치 개괄
시리아, 이집트와 연합 국가 "통일 아랍공화국"건설(1960.10 해체)
1954년부터 1958년 시리아-이집트 통합시까지 시리아 정치구조는 너무 파편화되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이집트도 아랍 국가로서 이 전쟁에 참전했다.
이 때부터 이집트는 아랍우선주의에서 이집트 우선주의로 정책을 전환하였다.
이집트 정치 변동은 나세르가 주도하였던 자유장 교단의 쿠데타에서 시작되었다.
사다트 정권 하에서 이집트는 급격히 변화했다.
바아스당, 군부, 알라위파 : 시리아의 정치를 이해할 수 있는 핵심
혁명 정권의 개혁 노력
나세르 정권
1943년 아랍바아스당이 창당 된 후 이 정당은 1953년 하우라니가 창립한 아랍 사회당(ArabSocialistP arty)과 합당하여 아랍 사회주의 바아스당 ArabSocialistBa'athParty , 일명 바아스당으로 변신했다.
그러나 통일 아랍공화국은 이집트의 일방적인 지배와 나세르의 시리아 바아스당 해체와 그에 따른 후유증으로 인해 1961년 붕괴되었다.
바샤르 정권이 시리아의 정치발전을 끝까지 추진하지 못한 것은 시민사회운동이 시작된 시점이 너무 일렀기 때문이었다.
이 정부는 '통합, 자유, 사회주의'의 바아스당이데올로기를 표방하였고 이집트이라크와 통합 문제를 제기하였지만 군부는 이 전처럼 바아스당에 이끌리기보다는 당-군 관계에 있어서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1963년의 쿠데타로 군부와 바아스당이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하게 됨으로써 시리아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는데 주요 변화로는 다음 사항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시순니무슬림보다는 주변부의 소수 종파 출신자들이 바아스당에 입당함으로써 이들이 당을 주도할 수 있었다.
바아스당이 1963년 3월의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했을 때도 알라위파는 확고 한 조직과 지역적 기반으로 그 세력을 증대시키면서 당과 정부의 요직을 거의 독점하다
또한 무력개입으로 카다피 정권을 몰락시키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현재까지 도 리비아 내에서 차기 민주정권에 대한 혼란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무력개입이 해법인가에 대해 회의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시리아 사태에 대한 무력개입이 미뤄지고 있다.
그리고 국내적 요인(현재 뚜렷하게 아사드 정권 타도 이후의 정국이 그려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파생하여 시리아 정권 이후 어떤 성향의 정권이 시리아에 들어설지 모른다는 점 역시 서방국가들의 개입을 가로막고 있다.
현재의 바샤르 정권이 완전히 친미적 성격을 가진 정권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반미 국가인 이란과 같이 시아파 인사들로 구성 된 정권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에 적대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으로써는 바샤르 정권을 이어 시리아에 들어서게 될 정권의 성향이 예상되지 않는다는 점이 적극 개입을 꺼리게 만드는 요인일 수 있다.
총인구의 대부분은 고대(古代)이집트인의 혈통을 이어받은 콥트인 및 누비 아인으로 약 60%가 펠라라고 불리는 농민으로 구성된 농촌인구이다.
팔레스타인 전쟁 : 제1차 아랍·이스라엘 전쟁(1948 40
그런데 파루크가 참전 결정을 내린 것은 이스라엘과의 전쟁보다는, 전쟁에서 승리한 후 자신의 정치적 최대 라이벌인 요르단 왕국의 압둘라가 팔레스타인을 점유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쿠테타에 성공한 자유장 교단은 곧 혁명평의회(RCC.3년간 유지)를 구성하고, 파루크왕을 퇴위시켜 국외로 추방했다.
따라서 자유장 교단의 1952년 혁명부터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이 일어난 시기까지를 나세르 정권의 정치·경제적 성격이 가장 잘 나타났던 시기로 볼 수 있다.
산업화와 근대화에 몰두하였던 나세르 정권은 민간기업에 의존하는 방법을 통한 경제발전을 추구하였고, 따라서 해방 집회나 민족연맹 같은 정치조직체도 그의 정권의 지지세력 을 규합하는 도구로서 만 기능하였고, 사회·경제적 변화를 주도하는 기구는 아니었다.
사회주의 노선 채택, 아랍 사회주의 강화
나세르 대통령의 아랍 사회주의는 공산권의 사회주의와도상이한 점을 가지고 있다.
그의 범아랍주의는 아랍 세계를 급진공화체제 아랍국가와 보수 왕정체제 아랍국가라는 상호 대립적 두 개의 진영으로 분열시 켰다.
사다트는 이스라엘과의 소모전쟁을 주장하는 사브리의 요구를 거절하고 이스라엘과 정전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반사다트 세력도 강화되었다.
무바라크의 대내외 정책은 큰 틀에서는 사다트의 정책을 계속 유지했지만 각론에서는 사다트의 정책으로부터 차별화를 시도했다.
경제적 개방, ②이스라엘과의 조약 체결 등에서는 사다트의 정책과 일치했으나 국내의 반대파나타 아랍 국가들, 미국, 그리고 부패에 대한 그의 입장은 사다트의 정책과 명백히 구별되었다.
결국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략에 대한 무바라크의 대응은 정렬적이면서도 강력한, 그러나 온건하고 절도 있는 균형 정책이었다.
결국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략에 대한 무바라크의 대응은 "균형정책"을 어떻게 찾아낼 것인가 '였다.
이집트 정부, 페이스북 차단 및 시위 금지령을 발표.
위키백과-이집트 참고(검색일 :2012.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