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학의 개념과 역사

1. 공중보건학의 개념과 역사.hwp
2. 공중보건학의 개념과 역사.pdf
"공중보건학의 개념과 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Ι. 서론

Ⅱ. 본론
1. 공중보건학이란?
2. 우리나라의 공중보건에 대한 상황
3. 공중보건의 역사
1) 근대 이전 ~ 근대 초기
2) 근대적 공중보건
3) 우리나라 공중보건사
(1) 구한말 및 일제시대의 공중보건(1897~1945)
(2) 해방 후 공중보건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Ι. 서론

우리나라는 원래부터 공중보건이 매우 약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의료보험체계가 완비되면서부터 공중보건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생한 이후 곧 우리나라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들어오게 되었고 그 바이러스는 매우 높은 감염력을 지니고 있었기에 관리가 필요했다.
이에 중앙정부에서 바이러스 관리를 행하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공중보건이 매우 중요한 위치에 서게 되었다. 게다가 11월 1일 부로 위드 코로나를 시행한 이후, 연일 환자가 증가하여 현재 5,0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게 되었다. 현재 상황을 봤을 때 환자가 더욱 많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한동안 종식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에 공중보건은 더욱 중요한 위치에 서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론에서는 공중보건학의 개념과 역사에 대해서 상세하게 조사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공중보건학이란?
Gostin은 공중보건학을 “인구집단 전체로서의 시민의 건강 상태를 유지 및 향상시키기 위한 국가의 법적 권한과 의무 및 다른 공중보건 참여자와의 협력, 그리고 공동선을 위하여 시민의 자율성, 프라이버시, 자유, 재산 및 기타 법적으로 보호되는 이익을 제한할 수 있는 국가 권력의 한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한다.
공중보건학의 역사, 우리나라의 공중보건사, 코로나와 공중보건
헬스조선(https://health.chosun.com).
박지용, 2014, 「공중보건법학의 개념과 이념적 기초」, 『저스티스』 통권 제141호.
맹광호, 2000, 「한국의 공중보건 1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