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에서 진행하는 화재위험작업의 안전관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화기작업에 대한 용어의 정의, 화기작업의 위험성, 연소와 소화의 원리와 소화 설비의 종류에 대해 다루어보았고 화기작업 진행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과 화기작업의 안전관리방법, 화재위험작업허가서(화기작업허가서)등의 작성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1. 서론
1) ‘화기작업(火器作業)’이란 무엇인가?
2. 본론
1) 화기작업의 위험성
2) 연소(燃燒)의 3요소
3) 소화(消火)의 3요소와 소화설비의 종류
4) 화재위험작업과 불티의 위험성
5) 화재위험작업 진행시 안전작업을 위한 3가지 조건.
6) 안전작업을 위한 3가지 준수사항
① 가연성물질의 제거
② 불티비산방지포의 사용과 보관방법
③ 화재위험작업 진행시 퍼지(purge)작업과 환기의 중요성
7) 화재감시자
① 화재감시자의 정의
② 화재감시자의 배치구간과 11m의 법칙
③ 화재감시자의 업무, 화재감시자의 자격과 필요능력.
8) 화재위험작업의 관리절차와 화재위험작업허가서
3. 결론
1) 보다 안전한 화재위험작업을 위하여
‘화기작업(火器作業)’이란 무엇일까? 건설업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이라면 이 용어를 처음 들어보았을 확률이 크다. ‘화기작업(火器作業)’이라는 용어는 주로 건설업에서 사용하는 용어이기 때문에 일상용어로는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건설업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은 ‘화기작업(火器作業)’이라는 단어가 대체 무슨 뜻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용어에 대한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에는 화기작업이라는 용어가 어렵다는 의견이 있어 화재위험작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현장에서 화기작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화기작업의 뜻을 이해한다면 작업자들과 보다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화기작업(火器作業)’이란 무엇인가? ‘화기작업(火器作業)’은 화기(火器)와 작업(作業)의 합으로 만들어진 용어로써 ‘불을 다루는 도구를 사용하는 작업’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화기작업(火器作業)’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우선 ‘화기(火器)’라는 용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화기(火器)’란 불을 다루는 도구라는 뜻을 지니며 ‘화기(火器)’라는 단어를 추가적으로 분해하여 분석해보면 불화(火)는 불을 뜻하고, 그릇 기(器)는 그릇, 접시, 도구의 의미를 가진다.
그렇다면 불을 다루는 도구는 대체 무엇이 있을까? ‘화기(火器)’라는 단어에 대해 호기심이 생긴 필자는 ‘화기(火器)’라는 단어를 인터넷 검색창에 검색해보았다. 그러자 다양한 이미지가 검색되어 나오는데 그중 총, 포 같은 무기(武器)류의 이미지도 같이 검색되었다. 이유를 알아보니 ‘화기(火器)’라는 용어에는 총, 포 같은 화약무기에 대한 의미도 포함되어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나아가면 ‘화기(火器)’와 ‘화기작업(火器作業)’의 범위가 너무 넓어지기 때문에 ‘화기(火器)’의 범위를 건설업으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사업장 화재예방을 위한 화재위험작업 확인.게시 매뉴얼 2020. 1 안전보건공단
사업장 화재예방을 위한 화재감시자 업무매뉴얼 2020. 1 안전보건공단
건설업 화재.폭발사고 예방을 위한 핸드북 2020. 9 안전보건공단
KFS 929, 용접.용단등 화기작업 화재예방기준 2017. 9 화재보험협회
KOSHA GUIDE F – 1 - 2020 용접․용단 작업 시 화재예방에 관한기술지침 2020. 1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5 다스(DAS) 경영지원(안전보건) 자기소개서 대학에서 안전공학을 전공하며 화재·폭발, 기계 위험, 인간공학 등 산업 전반의 위험요소를 학습했고, 위험성 평가, PSM, 산업안전보건법 등 실무에 필요한 제도 이해도 함께 갖추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현장의..
건설현장 용접.용단작업의 안전관리 본 자료에서는 건설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접.용단작업에 대한 개요와 종류, 관련 법령에 대한 정보를 기재하였으며 용접 용단작업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이 작업중 겪는 주요 재해유형에 대해 정리하고 그에 대..
[안전관리] 대구 지하철 화재참사, 무엇이 문제인가 1
대구 지하철 화재참사,무엇이 문제인가
2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대구 지하철 화재참사, 무엇이 문제인가
3
1. 서론
철도에서 지하구간 또는 터널 내의 열차화재사고 발생확률은 800년에 1번으로 추산되고 있다. ..
소방기관의 화재조사 전반에 대한 검토 소방기관의 화재조사 전반에 대한 검토
화재 조사의 목적
화재 조사의 공식 발표
화재 조사의 권한과 책임
화재의 원인과 피해조사에 있어서 경찰관과의 협력 의무
즉, 발화원, 착화물, 발화지점에서 나타난 화재..
GS건설 현장 안전관리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학업과 병행하여 학교에서 진행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실습에 참여하면서 실제 현장에서 위험요소를 점검하고 안전수칙을 현장 근로자들에게 교육하는 경험을 쌓았습니다.
위험성 평가를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은 작..
GS건설 현장 안전관리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학업과 병행하여 학교에서 진행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실습에 참여하면서 실제 현장에서 위험요소를 점검하고 안전수칙을 현장 근로자들에게 교육하는 경험을 쌓았습니다.
위험성 평가를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은 작..
방화관리일지Z 방화관리일 지Z
20 년월일 요일
결
재
담당
과장
소장
구분
종류
점검결과
비고
점검자
화기취급장소
난로전열기취급상태
위험물취급상태
가스누출여부
소화기보관(옥내소화전)
소..
각종자료및프로그램-1- | cad화일.도면,프로그램외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설계
(James M.Dewey / 삼성화재위험관리연구소 자문역)
1. 스프링클러 설계를 위한 위험분류의 비교
들어가는 말
다국적 기업, 세계적인 재보험회사, 국제 시민단체(NGO) 및 각종 산업관련..
[호텔안전관리] 호텔의 안전 관리 [호텔안전관리] 호텔의 안전 관리
목차
* 호텔안전관리
Ⅰ. 객실의 안전
Ⅱ. 고객의 재산보호
1. 내부의 도난예방
2. 외부의 도난예방
3. 투숙객의 도난예방
Ⅲ. 호텔의 출입자 통제관리
Ⅳ. 객실의 열쇠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