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불평등 정의하고, 건강불평등을 설명하는 여러 모델을 쓰시오. 또한, 코로나19 건강불평등에 대해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Ι. 서론
Ⅱ. 본론
1. 건강불평등이란?
2. 건강불평등에 대한 인식
3. 건강불평등에 대한 관점(모델)
1) 건강심리학자의 관점
2) 보건사회학자의 관점
3) 건강블평등워킹그룹 보고서
4) 영국 화이트홀 연구
4. 코로나19와 건강불평등
5. 건강불평등 해결사례
6.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해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Ι. 서론
건강불평등, 흔히 쓰이는 단어는 아니기에 이 용어에 대해서 어색해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다른 복지제도는 몰라도 의료보험제도는 잘 되어 있어 의료비부담이 비교적 적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dongA.com 2019년 12월 24일 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기대수명은 소득수준에 따라 최대 7년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 소득 1분위의 경우 78.6세이지만 5분위는 85.1세로 6.5년이 차이나며 2019년에는 그 차이가 더 벌어져 6.7년, 2025년이 되면 6.9년이 될 예정이 있다.
소득 수준의 차이로 인해 기초적인 먹을 것과 의료수준의 차이로 인해 이러한 상황이 나타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실제로 노인층이 많이 겪는 당뇨병이나 고혈압의 발병률도 높았지만, 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자살률이 크게 올라가기에 기대수명에 영향을 주었고 건강불평등을 야기시켰다.
건강불평등을 정의하고, 이를 설명하는 여러 모델을 설명한 후, 코로나19 시대를 겪으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는 건강불평등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서술해보도록 하겠다. 또한, 사회문제로서 이러한 건강불평등을 앞으로 어떻게 해결해가는 것이 좋을지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며 대안을 제시해보겠다.
Ⅱ. 본론
1. 건강불평등이란?
‘건강평등’에 대한 개념은 세계보건기구가 1946년에 발표한 세계보건기구 헌장으로 인해 사실상 정립되었다고 한다. 헌장에서는 “달성 가능한 최고 수준의 건강을 향유하는 것은 인종, 종교, 정치적 입장, 경제적·사회적 조건에 상관없이 모든 인류의 기본적 권리 중 하나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와 반대인 개념인 ‘건강불평등’역시 서서히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불평등을 단순하게 어원적으로 해석하게 되면 ‘같지 않음’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생기는 격차이기에 공정하지 않다는 의미인 ‘비형평’으로 해석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