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의 경제 D형)조세와 정부지출에 관해 논하시오

1. 391.hwp
2. 391.pdf
방통대 교수님이 좋아하실 참신한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참고하시여 작성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믿습니다.^^
1.서론

2.본론
1)조세의 개념
2)조세의 분류
3)조세부과의 원칙
4)조세와 정부지출

3.결론

4.참고문헌
1.서론

 최근 정부의 세제 개편안에 대한 봉급생활자들의 집단 반발로 박근혜 대통령이 "(세제 개편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라"고 지시했지만, 증세는 없다는 과거의 약속이 앞으로도 계속 지켜질지는 두고 볼 일이다. 이처럼 대다수의 국민은 납세의 의무에도 불구하고 세금 내는 것을 반기지 않는다. 비록 증세를 통한 세금이 정부지출을 통해 복지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사용될지라도 말이다.

 흥미로운 것은 자신의 지갑에서 빠져나가는 몇 만원, 몇 십만 원의 돈은 아까워하지만, 한 해 수백조의 돈이 정부의 일 년 예산으로 사용되는데도 이것이 어떻게 잘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무감각하다는 점이다. 2013년 예산이 340조5000억 원인지 아는 국민은 몇 사람 될까? 자신이 내는 돈 외에는 관심이 없으니 제대로 아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 … 중 략 … ≫


2.본론

 1)조세의 개념

조세(租稅)란 국가의 일반적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서 그 구성원에게 구체적인 반대급부 없이 강제적으로 징수하는 경제적 부담이다. 이 정의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즉, 과세의 주체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이다. 또한 세금을 많이 낸다고 혜택이 그에 비례하여 커지는 것은 아니다.
조세와정부지출, 조세와정부지출에관해논하시오, 생활속의경제, 생활속의경제D형
조세정책과 소득재분배/현진권한국조세연구원/1996
조세론/우명동/ 해남/ 2007
한국의 경제개발전략과 소득분배/강봉균/2008.
한국 조세제도의 변천과정/기중서 외/한국행정사학지/2009
국가는 내 돈을 어떻게 쓰는가/ 김태일/웅진지식하우스/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