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중심단기치료 모델에서는 인간이면 누구나 문제해결 능력을 이미 가지고 있다고 전제한다. 그러나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면 평상시의 문제해결 능력도 잘 작동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문제를 너무 크게 느끼고 그에 짓눌러져 자신의 능력이나 장점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결중심 모델에서는 잘 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이미 잘하고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춘 간단한 변화가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의 자원을 상기시키고 자원의 사용을 확장시킨다고 본다. 그런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지금까지 발휘하지 않던 능력을 발휘하여 문제해결에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 모델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자기 삶의 전문가라고 전제한다. 이는 과거 사회복지사들이 자신들을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사정하고 개입하는 전문가로 인식해 왔던 것과는 정면으로 대치되는 생각이다. 오히려 이 모델에서는 전문가로서의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것보다는 클라이언트가 인식하는 것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 사회복지사는 자신에 대해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전문지식을 통해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존재라고 가정하기보다는 오히려 클라이언트로부터 정보를 알아내는 학습자이며, 클라이언트의 삶에 대해 배우는 자라고 생각한다(De Jong & Berg, 2004; 김윤주 외, 2006에서 재인용).
이 모델은 문제에 초점을 두지 않고 해결에 초점을 두며, 클라이언트에게 효과적이었던 해결책을 찾아보도록 한다. 또한 효과가 없는 것은 적게 하고 효과가 있는 것을 많이 하며,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던 때와 같은 예외(exception)상황에 초점을 둔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생각이 부정적인 것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대화과정을 진행하며, 클라이언트가 새로운 관점과 행동을 하도록 돕는다.
이 모델은 드세이저(de Shazer), 인수 버그(Insoo Berg), 밀워키에 있는 단기가족치료센터(Brief Family therapy Center)의 연구원 등 주로 가족치료사들에 의해 발전하였다. 이것은 포스터모더니즘, 사회구성주의자들의 영향을 받았다.
해결중심 모델에서는 언어가 인간의 세계를구성하며 인간의 세계는 전 세계를 구성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사람들이 그들의 문제에 대해 말하는 방식을 바꾸면 문제도 해결된다고 본다. 그 결과, 해결중심 모델은 클라이언트가 문제중심적 대화에서 해결중심적 대화로 바꾸도록 돕는 데 목적을 둔다(Nichols & Schwartz, 2008 : 315-319).
사회구성주의자들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의 인식과 경험은 그의 살 속에서 경험하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구성된다. 즉,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사람이 부여한 의미란
[가족상담 및 치료]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의 치료전략에 대하여 [가족상담 및 치료]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의 치료전략에 대하여
목 차
Ⅰ.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의 발달 배경 및 주요 인물
1.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의 발달 배경
2. 주요인물
Ⅱ. 기본 원리와 주요개념
..
가족치료의 모델 - 해결 중심적 단기 가족 치료 해결 중심적 단기 가족 치료
1. 치료의 발달과정
이 모델은 1970년대 Palo Alto의 MRI 단기 가족 치료센터에서 함께 일하던 Steve de Shazer와 그의 부인인 Insoo Kim Berg에 의해 개발된 것이다. de Shazer는 ..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모델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모델
목차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모델
I. 주요 개념
1. 인간에 대한 신뢰
2. 작은 수준의 변화에서 시작
II. 치료목표 및 치료기법
1. 기적질문
2. 예외질문
3. 척도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