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모든 사람들의 삶의 질을 현재 상태보다 향상시키는 것이고, 개인과 사회 간의 유익한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거나 개선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NASW는 밝히고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사실은 '모든 사람', '살의 질 향상', '개인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이다. '모든 사람'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장애인, 노인, 아동 및 청소년,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미혼모, 알코올중독가정 등만이 사회복지실천의 대상이 아님을 나타낸다.
어떻게 보면 주관적인 삶에 대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그럴 가능성이 있는 모든 사람을 일컫는다고 할 수 있다.
'삶의 질 향상'에서 삶의 질 개념은 단순한 물질적 풍요 이상의 중요한 삶의 차원이 존재한다는 것을 함의한다.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전통 또는 이분법적인 구분에 기반을 두고 있다.
즉,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 실재의 측면과 지각의 측면,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것이다.
삶의 질에 대한 계량적이고 객관적 측면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주로 다양한 사회지표를 통해 삶의 질을 측정하는 전략을 택해 온 반면, 주관적 측면을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개개인의 삶의 질에 대한 느낌이나 행복감을 측정하였다.
살의 질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어려운 이유는 그만큼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차원이 다양하기 때문이고, 주관적인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임현진 등(1997)은주관적 차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데 가족관계, 먹는 것, 사회적 인간관계, 주거, 입는 것, 건강, 자아실현, 안전, 소득, 여가 문화 등의 10개 영역에서의 만족도를 사용하였다.
결국 '삶의 질 향상'이라는 의미는 객관적인 삶의 조건, 상태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평가가 만족스러운 상태로 향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은 사회복지실천의 가장 기본적인 주요 관점인 '환경 속의 인간(Persons In Environment)'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사회 내에서 정상적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서 사회는 우리에게 요구하는 부분들이 있다. 개인들은 사회 내에서 다양한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고, 사회는 개인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지위에 따른 역할을 적절하게 잘 수행하기를 기대한다. 또한 우리들은 배가 고프면 밥을 요구하고, 밥을 사서 먹을 수도 있어야한다. 어떤 개인이 사회에서 적절하게 잘살아가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능(사회적 기능)들을 잘 수행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렇지만 자기에게 주어진 역할을 어떠한 이유에서든 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