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에 대한 평가는 실천의 책임성을 증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회복지실천 지식의 기반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평가는 다음과 같은 면에서 사회복지실천에 유용하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욕구 충족이나 문제 해결의 목표에 달성했는지를 증명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의 욕구 충족 혹은 문제해결을 위한 서비스가 적절하게 제공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질에 관한 결정이 용이하다.
둘째, 개입이 클라이언트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가 확인되면 변화와 관련된 변수들에 대한 지식을 증명하게 되어 변수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사회복지실천 지식의 기반이 증진될 수 있다.
셋째, 클라이언트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재원은 적절하게 지출되었는지, 실천윤리와 가치를 제대로 실현하였는지를 객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어 책임성을 증명할 수 있다.
사회복지실천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검증된 도구, 설문검사지, 참여자의 피드백 등을 통해 얻어지는 객관적 자료가 요구된다.
자료를 얻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클라이언트가 말하는 내용에 근거해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문제영역이나 강점에 초점을 둔 간단한 표준화된 질문지. 또는 척도도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척도를 통한 자료수집은 직접 면접을 대신해서 얻을 수 있어 신뢰성, 타당성, 유용성을 증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우울증, 불안장애, 트라우마. 알코올 중독, 정신증과 같은 특정 장애와 관련된 측정도구는 심리척도핸드북 I(2000), 심리척도핸드북 II(2000), 실천가와 연구자를 위한 사회복지척도집(2007) 등에서 사회복지실천에 적합한 척도를 참고할 수 있다. 가정폭력, 아동학대 및 방임, 사회적지지, 생활 만족, 삶의 질과 같은 도구들도 개발되어 있으므로 실천가와 연구자를 위한 사회복지척도집(2007)을 참고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사회복지사는 직접 관찰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행동에 대한 체계적 측정을 할 수 있다. 다음은 사회복지사가 관찰할 수 있는 원조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행동의 예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