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을 측정하는 단위는 크게 개인, 가족, 가구이다. 이 가운데 이론적으로는 개인을 단위로 빈곤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빈곤측정의 궁극적인 목표가 개별 사람들의 경제적 안녕을 정확히 알아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실적으로는 완전히 개인단위로 소득을 조사하여 빈곤을 측정하는 것은 드물고 또한 실질적인 의미도 없다.
왜냐하면, 혼자 사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우 실질적인 소비단위가 가구 혹은 가족이어서 많은 수의 소득이 전혀 없는 사람들(아돈 전업주부 등)도 가구 혹은 가족 내의 소득이전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소득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가구나 가족을 단위로 빈곤을 측정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가족이라 함은 혈연관계가 있고 사람들이 동일한 소비단위를 구성한 것이고, 가구란 보다 광범위해서 혈연관계와 상관없이 동일한 소비단위를 구성한 단위다.
가구나 가족을 단위로 측정할 때 가족(가구)의 구성과 숫자의 차이를 어떻게 고려해야 하느냐의 문제가 있다. 가족 숫자가 다르면 경제적 욕구, 즉 소비에의 욕구도 달라 빈곤여부를 판단하는 빈곤선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족의 숫자가 늘어나면 소비의 욕구도 커지기 때문에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비용도 늘어난다.
그러나 숫자가 늘어난다고 해서 비용이 단순 비례해서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의 효과 때문에 숫자의 증가에 비해서 비용은 적게 증가한다.
1인 가구의 소비 욕구를 해결할 비용이 100이라면 2인 가구의 그것은 200보다 적은 것이다.
또한 가구를 구성하는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서도 욕구해결의 비용이 다를 수 있다. 그래서 노인 가구와 비노인 가구 사이의 비용이 다르고, 아동이 있는 가구와 없는 가구, 그리고 성별. 연령별에 따라서도 비용이 다를 것이다.
이렇게 서로 다른 가구 규모나 구성원들의 특성들을 고려해서 가구별 경제적 욕구를 비교할 목적으로 만든 것이 균등화 지수(equivalent scale)이다.
그런데 이러한 균등화 지수는 국가별 시대별로 다른 데, 이유는 국가별 시대별로 경제적 욕구와 소비형태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미국의 공식적인 빈곤선을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균등화 지수는 1인가구가 1이라면, 2인가구는 1.28, 3인가구는 1.57, 4인 가구는 2.01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