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기반과 예술적 기반 방법을 사용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일어나는 예시를 들어 논의하시오
과학적 기반과 예술적 기반 방법을 사용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일어나는 예시를 들어 논의하시오.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실천에서 다른 사람이 변화하도록 돕기 위해서 창의성, 직관적 감정, 개성, 관심, 애정 등이 있어야 하는 동시에 그것을 인간행동, 사회환경, 변화과정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나 절차를 활용할 줄 아는 노련한 능력과 결합시킬 수 있어야 하며, 그리고 변화 노력을 위해 체계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문제해결의 방법과 결합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Pincus & Minahan, 1973, P. 33).
학교에서 문제아동으로 불리는 자녀를 가진 저소득가족이 사회복지관에 의뢰된 사례를 생각해 보자.
사회복지사는 가족 및 학교와 접촉하여 문제를 탐색한다. 사회복지사는 이 상황에 아동, 특히 저소득가정 아동의 성장발달, 가족 내의 상호작용, 그 가족의 특수한 문제, 조직, 특히 학교의 기능, 학교와 가족이 서로관계를 갖는 방법과 모든 체계(개인 ․ 가족 ․ 조직 ․ 지역)의 변화에 대한 저항, 가족이나 조직이 변화하도록 영향을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식들을 가지고 문제에 대처한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특정 지역, 학교체계, 가족이 거주하는 지역, 이 지역 저소득가정의 생활양식과 그들의 특수 문제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사회복지사는 그와 비슷한 가족과 학교 등을 대상으로 한 경험이 현재의 직무에 도움이 되기는 하나 이 문제에는 그 나름대로의 특수성이 있어 지식과 기술의 결합 및 문제 해결방법의 사용면에서 직관이 요구될 것이다. 그러나 Eaton(1958)은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모든 것을 "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인간 문제의 해결에 관한 연구나 경험이 충분히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거기에는 항상 무지와 오류의 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1) 사람은 어떤 면에서 모든 사람과 같고,
(2) 사람은 어떤 면에서 몇몇 사람과 같고,
(3) 사람은 어떤 면에서 누구와도 같지 않다.
그 중의 (1)과 (2)는 과학을 실천에 적용할 수 있게 하지만 (3)은 한계 상황을 설명한다. 사회복지사는 하나하나의 사례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기는 하나 이 사실이 유사한 사례들을 통해서 얻은 경험을 적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니다. 지식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