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통신사
조선 통신사란, 조선시대 일본으로 보낸 외교사절 단을 뜻한다. 1404년(태종 4) 조선과 일본사이에 교린관계가 성립되자, 조선 국왕과 막부 장군은 각기 양국의 최고 통치권자로서 외교적인 현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절을 각각 파견하였다.
이 때 조선 국왕이 막부 장군에게 파견하는 사절
을 ‘통신사’, 막부장군이 조선국왕엑 파견하는 사
절을 ‘일본국왕사’라고 하였다.
‘통신’은 두 나라가 서로 신의를 통하여 교류한 [조선 통신사의 행렬] 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조선에서 일본에 파견한 사절의 명칭은 보빙사, 회례사, 회례관, 통신관, 경차관 등 다양하였다.
일본에 파견된 사절단에 통신사라는 명칭이 처음 쓰인 것은 1413년(태종 13)에 박분을 정사로 한 사절단이었으나 이 사행은 도중에 정사가 병이 나서 중지되었다. 그 뒤 1429년(세종 11) 박서생을 정사로 한 사절단이 일본에 파견되어 임무를 수행하고 귀국하였는데, 이것이 실제로 시행된 최초의 통신사라고 할 수 있다.
1811년(순조 11) 마지막 통신사가 파견될 때까지 조선시대에는 20차례에 걸쳐 통신사가 파견되었으며 76년(고종 13) 강화도조약 이후 수신사로 개칭되었다. 통신사의 파견 목적은 임진왜란 이전에는 왜구의 칩입금지 요청이 주가 되었다. 그 후 일본과의 전쟁상태 종결을 위한 강화와 수호체결, 포로인 쇄환, 대마번의 견제 및 일본국정 탐색, 막부장군의 습직축하 등 매우 다양하였다. 한편 일본에서 조선으로 파견된 일본국왕사는 주로 경제적인 이유 때문이었다. 그들은 동을 가져와 생필품인 쌀, 콩, 면포 등을 가져갔다.
일본에서 새로운 막부 장군의 승습이 결정되면, 대마도주는 막부의 명령을 받아 통신사청래차왜를 조선에 파견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 조정에서는 중앙 관리 3명 이하로 정사, 부사, 서장관을 임명하고 300∼500명으로 구성되는 사절단을 편성하였다.
....
현장을 찾아서 조선통신사의 노정에서 남겨진 기록물14p 이순신의 두 차례 백의종군
유배지에서 꽃피운 학문 사례
바로 이 시기에 등장한 조선통신사는 단순한 사절단이 아니라, 전쟁 후 외교복원과 문화교류의 상징이었다.
일제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사는 국외의 무장..
역지통신
18~19세기 한․일국교관계의 동요와 통신사
-역지통신 실시에 대한 고찰-
目 次
Ⅰ. 서 론
Ⅱ. 본 론
1. 역지통신 실시배경
1) 조선조정의 입장
2) 도쿠가와 막부의 입장
3) 대마번의 입장
2. 역지통신 ..
한국 문화사 1. 머 리 말
수천년간의 교류를 하는 동안에도 도쿠가와 정권의 260년 만큼 일본과 한국 사이에 평화가 유지되고 우호가 계속된 시대는 없었다. 양국 우호의 상징이 된 통신사와 왜관과 쓰시마 사이에서의 무역..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2025년 2학기 관광학과 중간과제물 공통 일본 사회에 남긴 영향과 문화교류의 의미
본과제에서는 조선통신사의 기록물, 황푸공원과 황포탄의거, 연해주의병의 국내 진공작전, 이순신의 두 차례 백의종군, 그리고 유배지에서 피어난 학문적 업적을 통해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