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지통신

1. 역지통신.hwp
2. 역지통신.pdf
역지통신


18~19세기 한․일국교관계의 동요와 통신사
-역지통신 실시에 대한 고찰-

目 次

Ⅰ. 서 론

Ⅱ. 본 론

1. 역지통신 실시배경
1) 조선조정의 입장
2) 도쿠가와 막부의 입장
3) 대마번의 입장

2. 역지통신 실시과정
1) 통신사 파견의 연기
2) 대마역지통신의 교섭
3) 역지통신 시행
3. 역지통신의 의의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序論
조선후기 조일관계에 있어 최후의 통신사인 1811년 신미통신사(辛未通信使)는 이전의 사행과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졌다. 즉 이제까지의 모든 통신사는 에도(江戶)를 방문하여 도쿠가와(德川)장군을 직접 만나서 국서(國書)를 교환하고 접대를 받았지만, 여러차례의 교섭 끝에 겨우 실현된 이 통신사는 에도가 아닌 쓰시마를 방문하는 역지통신(易地通信)1)1) 조선에서 일본에 통신사를 파견하는 경우, 그 장소는 도쿠가와 장군이 거처하고 있던 에도였고, 통신사는 대마도주 및 노중(老中)의 안내를 받아 장군을 직접 만나 조선국왕의 국서를 전달하고, 후에 회답서를 받는 것이 항례화되어 있었다. 그러나 1811년 신미통신사는 그 장소를 쓰시마로 바꿔 도주의 저택에서 국서가 교환되었던 이례적인 통신사였다. 이 행사를 조선의 기록에는 말뜻 그대로 장소를 바꾸어 신의를 통한다는 의미의 역지통신이라고 기록하고 있다(예 : 《交隣志》신사각년례, 純祖十一年辛未始許 易地通信遺金履喬李勉求閏三月越海交隣 그러나 일본측의 기록은 한결같이 역지빙례라고 기록하여 의미상으로 조선에서 예를 갖춰 찾아뵙는다는 의미의 빙례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
의 형태였다. 또 국서교환도 도주(島主) 저택에서 양국의 관리 사이에 이루어진 이주 이례적인 통신사였다.
....
공학,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