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탐구 - 화강암 구성광물, 특성, 성인, 수질 등등

1. 지구의 탐구 - 화강암 구성광물, 특성,.hwp
2. 지구의 탐구 - 화강암 구성광물, 특성,.pdf
지구의 탐구 - 화강암 구성광물, 특성, 성인, 수질 등등
지구의 탐구 - 화강암 조사

목 차

1. 고려대학교 화강암의 구성 광물 동정
2. 화강암 지역의 토양이 갖는 일반적 특징 및 물리적/화학적 특성
3. 화강암의 성인과 화학조성
4. ‘서울화강암’의 형성 과정
5. 화강암의 풍화과정과 화강암 지역의 수질 특성
1. 고려대학교 화강암의 구성 광물 동정

[사진 1-1]

[사진 1-1]에서 B 부분과 같이 연한 분홍색을 띄는 광물은 정장석이다. A 부분에서 수정처럼 투명한 색을 띄는 광물은 석영이다. 석영과 색이 비슷하나 다소 회색빛이 감도는 C부분의 광물은 사장석으로 보인다.

[사진 1-2]
[사진 1-2]를 보면 표시한 부분과 같이 화강암에 검은색을 띄는 광물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흑운모이다. 흑운모는 석영이나 장석처럼 많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마치 검은 점처럼 드문드문 발견된다.

2. 화강암 지역의 토양이 갖는 일반적 특징 및 물리적/화학적 특성

1) 마사토의 정의 및 물리적/화학적 특성1)1) 김찬기 외, [풍화화강암과 풍화토의 공학적 성질과 응용], 창우출판, 1999년. p.221

화강암 지역의 토양은 화강암이 풍화되어 만들어진 토양으로, 이를 마사토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마사토는 화강암질 암석(화강암, 화강섬록암 등)의 결정성 심성암 및 이와 동질의 편마암이 풍화되어 그 곳에 잔류하는 잔적토(residual soil) 및 이로부터 발생된 붕적토(colluvial deposit) 등을 말한다. 마사토의 모암은 화강암이므로 여기에는 석영, 장석, 운모가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굵은 석영입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질토양에 속하며, 배수가 좋아 논농사보다는 밭농사의 토양으로 적합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