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명 : 렙토스피라
*병원체 : 렙토스피라 케니콜라 와 렙토스피라 익테로헤모레지 라는 세균
*주요증상
-동물 : 개의 경우에는 렙토스피라의 주요증상은 출혈형과 황달 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출혈형의 경우 41℃이상의 발열과 심한 구토가 있으며 뒷다리의 통증으로 다리를 절뚝거리기도 한다. 병이 진행되면 구강점막에 궤양이 형성되고 출혈성 설사를 일으키면서 저 체온이 되어 수일 내에 폐사에 이른다. 황달형의 경우도 비슷한 증상을 보이나 간의 손상에 의해 황달증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다.
-사람 : 두통, 결막염, 황달, 유산 등
*전파경로 : 렙토스파이라 세균에 감염 된 쥐의 오줌에 의해 전파되며 이 세균에 감염된 개나 소, 돼지와의 접촉도 원인이 된다. 또한 토양에 오염된 렙토스파이라 세균에 노출된 경우에 피부 상처 부위를 통하여 감염이 유발될 수 있다
*예방대책 : 개 혼합백신인 DHPPL를 접종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들이나 야외에서 개가 불결한 곳에 코를 대고 냄새를 맡지 못하게 하고 아무것이나 주워 먹는 습관을 교정시켜야 한다. 그리고 사람들은 상처감염을 예방하고 들쥐, 집쥐에 신경을 쓴다.
질병명 : 브루셀라증
*병원체 : Brucella속균(B.melitensis, B.abortus, B.suis, B. ovis, B.neotomae, B. canis의 6균종)
*주요증상
-동물 : 암캐의 경우 임신된 자궁에만 감염되어 태반의 상피세포에 극소화 하여 태아조산 및 유산을 일으킨다. 암캐는 때때로 임신 전 기간에 그리고 한배 새끼의 모든 생존태아나 죽은 태자에게 모두 전파함으로써 생존태아의 경우라도 대개 수 시간 또는 수 일안에 죽는다. 임신하지 않는 암캐는 대개 임상증상을 나타내지 않지만 자궁분비물 또는 오줌을 통해서 계속해서 원인균을 배설한다.
-사람 : 오한, 발열, 두통, 관절통 등
*전파경로 : 배설물이나 혈액등과 접촉
....
인수공통감염병 1. 인수공통감염병이란
새로운 감염증 (emerging infectious disease)이 세계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들 병원체의 병원소는 대부분이 고등 동물이나 절지동물이지만, 한편 원래는 동물의 병원체이던 것이 사..
인간과 동물 - 인수공통감염병과 야생동물 인간과 동물 - 인수공통감염병과 야생동물
인수공통감염병 정의 및 분류
[정의]
인수공통감염병이란[zoonosis, 人獸共通感染病]
동물과 사람 사이에 상호 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염병을 말한다
[..
인간과 동물의 인수공통감염에 관해서 [인수공통감염병 정의 및 분류]
1. 정의
인수공통전염병이란 사람과 동물 사이에 옮겨지는 모든 질병을 말하며, 전세계에 약 200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체 별로 보면 세균성, 바이러스성, 리켓치아성..
<바이러스 쇼크> -인류 재앙의 실체, 알아야 살아남는다- 독후감 <바이러스 쇼크> -인류 재앙의 실체, 알아야 살아남는다- 독후감에 대한 내용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2020부터 시작된 코로나19..
[합격] 2025 간호직 공무원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공무원 간호직은 국민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보건의료서비스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중대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임상 현장에서 환자들과 마주하며 배운 환자 중심 간호와 의료현장 관리 경험을 토대로, 국민의 ..
[A+][합격][학업계획서]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수의학과 학업계획서 이를 위해 다양한 교과목과 세미나, 학술대회 참가를 통해 최신 연구 동향을 주도적으로 탐구할 계획입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최신 연구기법과 임상지식을 습득하며, 학문적 깊이와 현장 적용성을 동시에 갖춘..
[호흡기계감염병] 호흡기계 전염병(디프테리아, 백일해, 홍역) [호흡기계감염병] 호흡기계 전염병(디프테리아, 백일해, 홍역)
좋은 결과를 위해 여러 자료들을 토대로 검토하여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퇴고과정을 거쳐가며 심혈을 기울여 썼기 때문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부..
역학단계 및 역학연구방법, 주요지역사회 간호이론 ◎ 전염병 역학단계
1. 진단의 확인 : 신고된 환자 또는 유사환자의 진단을 확인하는 것이 유행조사의 시발점이다. 일단 환자로 의심된 사람들은 모두 같은 원인에 의해 발병되었음이 확인되어야만 유행여부도 판..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과 갈등론 ※ 주제 : 교육 사회학 이론을 기능주의 갈등주의 해석학적 이론으로 나누어 사회관 교육관 사회적 선발관 연구내용 및 방법의 차이점을 조사하시오
1.기능주의 이론
(1)기능주의이론
- 기능주의 교육이론은 꽁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