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파급 효과
1) ‘장근석’과 ‘산토리 서울 막걸리’
2) 아이돌 가수 ‘카라’와 대상 청정원 ‘마시는 홍초’
3) 배우 겸 가수 故‘박용하’ 그리고 오리온의 ‘마켓오 리얼브라우니’
4) ‘김태희’의 피부를 닮고 싶은 일본여성들
5) 한국 식탁에 오르는 빨간 스프의 정체가 궁금하다
※한류효과의 실패 사례 - 현대 자동차의 일본 진출 참패
5. 국제경제학에서 다루는 H-O무역교환모형으로의 대비
6. 결론
1) '한류'라고 하는 국가브랜드의 육성
2) 한류, 지속성의 문제
1. 한류의 개념
2. 일본 시장 내에서의 한류 확산
3. 문화적 요소
1) 문화적 요소로써의 드라마
2) 대중가요 문화
4. 파급 효과
1) ‘장근석’과 ‘산토리 서울 막걸리’
2) 아이돌 가수 ‘카라’와 대상 청정원 ‘마시는 홍초’
3) 배우 겸 가수 故‘박용하’ 그리고 오리온의 ‘마켓오 리얼브라우니’
4) ‘김태희’의 피부를 닮고 싶은 일본여성들
5) 한국 식탁에 오르는 빨간 스프의 정체가 궁금하다
※한류효과의 실패 사례 - 현대 자동차의 일본 진출 참패
5. 국제경제학에서 다루는 H-O무역교환모형으로의 대비
6. 결론
1) '한류'라고 하는 국가브랜드의 육성
2) 한류, 지속성의 문제
2. 일본 시장 내에서의 한류 확산
경제 외적인 면에서도 일본과는 오랜 세월 가깝고도 먼 나라였다는 점에서 최근의 한류현상은 더욱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본은 한국과 동일한 동양문화권이기 때문에 낮은 문화적 이질성, 지근거리의 근접성, 그리고 세계 제2의 시장규모(현재에는 중국시장을 강세로 미약)라는 점에서 우리에게 최적의 매력적인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한류의 중심은 방송이지만, 영화나 공연물, 가요출판물, 그리고 게임에 이르기까지 분야별 문화상품들이 다양하게 일본 안방 깊숙하게 파고 들어가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한류콘텐츠수출의 약 60% 정도를 일본 단일시장에 의존하고 있는 실태가 이를 증명한다.
1990년대 초반 사극 ‘임진왜란’이 NHK 위성 채널을 통해 방영되면서 우리 드라마의 일본진출이 시작되었다. 그 후 ‘질투’, ‘파일럿’ 등이 방영되었는데, 이 몇 편의 드라마가 오늘날 한⦁일 양국간 문화교류의 가능성을 확인시켜준 작은 불씨였다고 할 수 있다. 이후, 2004년 일본열도를 열광의 도가니로 몰아넣으며 확실하게 한류현상을 일으킨 드라마 ‘겨울연가’는 일본 전역에 한국 드라마의 재미와 감동을 각인시켰고, 이것을 계기로 한국드라마 붐을 촉발시켰다. 이와 함께 가수 ‘보아’의 일본시장 데뷔는 일본에서는 전처럼 볼 수 없었던 ‘소녀의 파워풀한 댄스와 뛰어난 보컬실력을 겸비한 실력파’라는 이미지가 크게 작용하여 유례없었던 아시아 외국가수가 일본 음반 차트를 석권하였다.
현재에는 ‘소녀시대’, ‘카라’, ‘장근석’ 등을 선두로 하여 일본 연예계에 이례없는 한류열풍이 다시 불고 있고, 그 밖에도 수 많은 연예인들이 일본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연예계의 호황, 드라마의 수출만으로 끝나지 않고 연예인 캐릭터 상품의 수출, 그들의 이미지를 이용한 제품 마케팅의 효과, 관광의 활성화 등 연예인으로부터 시작하여 한국 자체에 흥미를 갖는 일본인들은 한국의 모든 것을 찾게 된다는 파급효과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