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대도시계획의 배경은 산업혁명에 의한 도시 문제였다. 주요 개념과 방식에 있어 차이를 보이지만 핵심은 산업화로 인한 도시환경을 개선하는 것이었다. 로버트 오웬의 이상도시계획안에서부터 근대도시계획의 양대 조류라고 할 수 있는 Le Corbusier의 빛나는 도시, E. Howard의 전원도시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 그러나 근대도시계획은 열악한 도시환경 개선이라는 한 가지 초점에만 맞추어 있었고, 시기적으로 도래하지 않았던 인문·사회·도시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함으로써 한계에 이른다. 예컨대 에너지문제, 도시확장, 자동차의 급속한 증가, 환경오염 및 지구온난화, 인간성의 상실을 꼽을 수 있다.
- 이에 따라 근대도시들이 실패하고 비판을 받으면서 이를 대신할 새로운 개념들이 등장하게 된다. 대표적인 도시계획의 신조류로 컴팩트시티(Compact City), 어번빌리지(Urban Village), 뉴어버니즘(New Urbanism)을 들 수 있다.
- 본 글에서는 컴팩트시티, 어반빌리지, 뉴어버니즘의 3개 패러다임에 대해 알아보고, 이 중 뉴어버니즘의 주요 내용에 대해 고찰하여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도시개발 개념에 대해 논하도록 하겠다.
2. 도시계획의 신조류
○ 배경
- 컴팩트 시티(Compact City), 어번빌리지(Urban Village), 뉴어버니즘(New Urbanism) 등 21세기 새로운 도시설계의 패러다임은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 속에서 성장한 근대 도시의 한계와 실패의 교훈에서 등장하였다.
....
컴팩트시티_compact city_압축도시_컴팩트시티적지 컴팩트 시티(compact city)의 적지(適地)
목 차
제1장 서 론
1. 배경 및 목적
2. 방법 및 내용
제2장 이론적 고찰
1. 제도 및 사례
2. 선행 연구
제3장 컴팩트 시티의 적지
1. 지역별 검토 (신도시..
COMPACT CITY (사례 및 시사점) 및 지방중소도시의 활성화 대책 COMPACT CITY 의 사례 및 시사점을 정리한 자료로서 해외사례와 국내사례를 통해 컴펙트시티의 기법과 적용정도를 분석 정리한 자료입니다(A+)
<컴팩트 시티>
1.콤팩트시티 적용 사례
해외사례
국내사례
2..
도시_도시계획 직무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저는 학업과 현장실습을 통해 쌓은 도시계획 전반에 대한 지식과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을 도화엔지니어링에서 실무에 적용하여, 지역주민과 환경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도시공간을 만들어가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