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 결정 - 합리모형, 만족모형, 점증모형, 혼합모형에 대해 서술

1. 사회복지정책 결정 - 합리모형, 만족모.hwp
2. 사회복지정책 결정 - 합리모형, 만족모.pdf
사회복지정책 결정 - 합리모형, 만족모형, 점증모형, 혼합모형에 대해 서술
주제 : 사회복지정책 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설명하기위해서 고안된 이론모형( 합리모형, 만족모형, 점증모형, 혼합모형)에 대해 서술하시오.

1) 합리모형
인간과 조직의 합리성, 완전한 정보환경 등을 전제로 하여,
목표달성의 극대화를 위한 합리적 대안의 탐색·선택을 추구하는
규범적·이상적 정책결정 모형을 말한다.
즉 합리모형은 인간을 합리적 사고방식을 따르는 경제적 인간으로 전제하고
정책 결정자의 전지(全知)를 가정(assumption of omniscience)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체계 적·포괄적으로 분석하여 가장 합리적인 최적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고 보는 정책결정 모형을 말한다.
만족모형은 March와 Simon이 합리적 모형을 수정한 것으로서 “제한된 합리모형”이라고도 한다. 이 모형에서는 개인의 합리성이 가정되어 있지 않다. 조직 내에서의 의사결정자는 전체 문제에 대한 일부분의 정보만을 가지고 의사결정에 임하므로 합리적 의사결정을 저해하게 된다는 것으로, 최대로 가능한 만족을 어느 정도 희생하여 대충 만족만 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이다.
2) 만족모형
개념 : 만족모형의 기본적인 가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은 자신의 제한된 능력과 환경적 제약으로 인해 완전한 합리성을 발휘할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은 합리적이 되고자 노력할 뿐이며, 대안의 분석에도 완벽을 기할려고 노력할 뿐이다.
둘째, 대안의 선택시에도 최소한의 만족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계속된다면 그에 맞추어 대안의 선택기준을 낮추어 가게 된다.
셋째,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의 가치관 등 심리적 성향에 의하여 형성되는 주관적 합리성이 의사결정의 기준이 된다.
마지막으로, 의사결정에서 탐색활동은 만족을 줄 수 있는 대안을 찾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주관적으로 좋다고 생각되는 대안을 선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