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 가족복지 서비스적 접근방법

1. 가족복지론 - 가족복지 서비스적 접근.hwp
2. 가족복지론 - 가족복지 서비스적 접근.pdf
가족복지론 - 가족복지 서비스적 접근방법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

1960년대를 기점으로 가족을 전체로 하고 하나의 유기체로 접근하는 방법은 가족복지 서비스 분야에서 사회복지 전문가의 관심을 끌었다.
가족복지서비스의 5가지 서비스 ① 가족진단과 가족치료에 관한 적용, ② 자아심리학의 응용, ③ 역할개념에 관한 접근, ④ 다문화가족에 대한 치료방법, ⑤ 위기이론에 입각한 치료방법
가족복지기관의 목표 : 가족 내의 개인 및 그 구성원들로 하여금 가족생활에서 원만한 인간관계, 즉 가족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하는데 있다.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중 대표적 방법인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생활교육, 가정조성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1. 가족상담과 치료
1) 가족상담
Freeman(1980 : 20) : 가족상담이 필요한 대상은 정신과 의사나 임상심리가의 치료를 효하는 정신병리 소유자보다는 이른바 문제 가족성원이나 가족위기가 그 대상이 된다.
가족치료 : 정신치료 및 가족체계의 이론과 기술을 신경정신적 장애의 치료목적을 위해 개인, 부부, 가족에 적용하는 전문적 서비스
가족상담 : 신경정신적 장애진단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 예) 결혼적응, 결혼준비, 부부관계, 부모-자녀 관계, 고부관계 등 가족관계문제에 초점을 두는 가족치료의 특수한 부분
⑴ 가족상담의 적용과 목적
① 자연발생적으로 발생하는 가정위기 : 부모의 직업이동이나 변화로 거주지 이동, 가족성원의 질병을 앓게 됨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부담이 증가, 새로운 가족성원의 출생이나 출가, 가족성원의 갑작스러운 사고나 사망, 별거 등 이별, 어머니가 재취업할 경우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