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복합운송

1. 인천항,복합운송.pptx
2. 인천항,복합운송.pdf
인천항,복합운송
인천항을 통한 Sea Air 복합운송 전략
1. Sea Air 복합운송
1. Sea Air 복합운송
국제 운송에 있어서 해상운송의 저렴성 (economy of sea fright)과
항공 운송의 신속성 (speed of air cargo)을 결합시켜
수송 비용을 절감하고 수송 기간을 단축시키려는 국제 화물 운송 방식
Sea Air 복합운송이란
1
Sea Air 복합운송의 주요 요소
2
지리적인 위치 - 물동량이 창출될 수 있는 배후 산업단지를 갖추고 있는 인근에
공항과 항만이 모두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
3
정부의 관리운영시스템 - one-stop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절차가 간소화되어야 하고
고객 지향적 마인드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여야 한다.
항만 및 공항시설 - 두 시설을 연계하는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야 하며
상호간의 해공복합운송을 위한 전담 시설이 구비 된다면 더욱 효과적이다.
해운선사 및 항공사 - 화물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하여 필요한 정보 및 서비스,
시설 등을 제공하여야 한다.
4
1. Sea Air 복합운송
2. 인천항의 해공복합운송
2. 인천항의 특징
서울 및 경인공업지구의 관문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입항
정유산업 및 제철산업 등을 포함하는 제조산업의 원자재를 적기에 공급하고 제품의 원활한 수송을 담당
인천항, 인천공항, 수도권과 황해를 잇는 고속도로, 인천항과 공항을 잇는 인천대교 등 인프라 구축
2. 인천항의 주요 기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