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 시 연구

1. 한용운 시 연구.hwp
2. 한용운 시 연구.pdf
한용운 시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서론
본론
[한용운의 삶, 그리고 사상]
[님의 原型, 그리고 正體]
[소멸과 생성의 변증법]
[한용운 시와 기다림의 세계]
[여인으로 설정된 화자]
[한용운 시의 수사법의 특징 - 역설, 은유]
결론
<참고문헌>
서론...
萬海의 詩精神은 기다림과 사랑이라 할 수 있고, 체험을 통한 그의 역사의식이나 종교적 염원이 바탕을 이루고 있다고 하겠다. 그의 역사의식은 조국과 민족에 대한 사랑이요, 종교적 염원도 결국은 대승사상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다. 만해는 선승, 지사, 시인의 세 측면으로 인간을 이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의 文學은 韓國 現代詩史에서 독특한 존재로 평가될 수 있다. 앞으로 본론에서는 [한용운의 삶과 사상] [님의 원형과 정체] [소멸과 생성의 변증법] [한용운의 시와 기다림의 세계] [여인으로 설정된 화자] [한용운 시의 수사법의 특징 - 역설, 은유] 6가지 부분으로 한용운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론...
[한용운의 삶, 그리고 사상]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이며 승려인 한용운(1879(고종 16년) ~ 1944)은 1879년 8월 29일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서 한응준의 차남으로 태어났고, 어머니는 온양 方氏이며 본관은 淸州, 본명은 貞玉, 아명은 裕天, 출가해서 득도할 때의 계명이 奉玩, 법명은 龍雲, 법호는 卍(萬)海였다. 고향에서 한문을 배웠고, 9살 때 『西床記』를 독파하고 『通鑑』,『書經』을 통달한 천재라고 하였다. 1892년 전통적인 관례대로 천안 全氏를 아내로 맞고 서당 선생이 되어 동네 아이들을 가르쳤다.1)
한용운은 17세 때에 동학운동에 가담하여 민중의 침탈됨을 광정하는 운동에 스스로 이바지한 지사이다. 이러한 사실을 보면, 한용운의 사상은 학문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실제적인 생활을 토대로 한 체험에서 자라나고 익은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1897년 의병의 실패로 몸을 피해 고향을 떠나 강원도 설악산, 백담사 등지를 전전하다가 1904년 고향인 홍성으로 와서 수개월 머물렀다. 그해 12월 21일 맏아들 보국을 얻는다.
한용운, 사상시, 현대시, 만해, 문학
성기조, 『한국현대시인론』, 한국문화사, 1997
한용운, 『禪과 人生』, 동서문고, 1977
최동호, 『한용운-혁명적 의지와 시적 사랑』,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
김열규 편집, 『韓龍雲硏究』, 새문사, 1981
朴鎭煥, 『韓國現代詩人硏究』, 자유지성사, 1997
황패강 외 공편, 『한국문학작가론4 - 근대의 작가』, 집문당, 2000
J. P. Satrtre외:양원달 역, 『存在와 無』 - 無의 通過過程, 을유문화사, 1971
김재홍, 『한국 대표시 평설』, 문학세계사, 1977
신동욱, 『김영랑의 슬픔과 시』, 현상과 인식, 1978년 겨울호 참조
김재홍, 『한용운문학연구』, 일지사,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