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의 해도 거의 저물어 갈 무렵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결정된 신탁통치방침이 서방통신을 타고 전해짐으로써 한반도에는 엄청난 정치적 폭풍이 몰아 닥쳤다. 이에 조만식에 조선민주당을 비롯해서 우익계열은 격렬히 반탁을 부르짖었다.
2. 조선공산당의 신탁통치 찬성으로의 입장 변화
심지어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산하의 군당조직에서도 신탁통치 반대소리가 나왔다. 그러나 박헌영이 5일간의 비밀평양 방문을 마치고 해를 넘겨 서울로 돌아온 46년 1월 2일 부터 상황은 급변했다. 반대입장을 견지하던 조선공산당이 느닷없이 찬탁으로 급선회했다 이에 이남은 반탁의 한목소리로 모이는 듯했던 좌우는 완전히 결별했다.
신탁통치문제는 좌우의 대립을 불러오고 그것이 남북분단의 고착으로 이어진셈이다. 이 과정에서 수수께끼는 박헌영의 급선회 배경이다. 박헌영은 평양에서 김일성 소련군사정부 군정관계자와 비밀리에 접촉했다. 거기서 조선공산당이 입장을 급히 바꾼 것은 소련및 김일성이 행동지침에 따른 것이었다는 점이며 이같은 지침을 박헌영이 직접받아 왔다.
이 문제에 이어 두번째는 임시정부구성의 원권이 마련되었다. 공산주의 세력과 기타 세력이 비율을 2:1로 해서 이북의 분국과 이남의 좌익세력이 감각별개의 세력으로 임시정부에 들어가고 이남의 우익들 나머지 세력은 하나의 세력으로만 인정해 임시정부를 구성해서 공산당이 임시정부를 리드하자는 것이었다.
3. 조만식의 반대와 찬탁 여론 조성을 위한 소련의 움직임
....
좌우합작운동의 실패요인
좌우합작운동의 실패요인
좌우합작운동의 실패요인에 관하여 크게 대내요인면과 대외요인면으로 나눌 수 있다.
Ⅰ. 좌우합작운동 실패의 대내요인
좌우합작운동이 결과적으로 실패하게 된 국내요인은 이념적..
한국의 신탁통치에 대한 정치세력들의 반응과 찬반탁 논리 한국의 신탁통치에 대한 정치세력들의 반응과 찬반탁 논리
1. 신탁통치와 국내 정치세력의 반응
한국 현대사의 큰 굴곡은 신탁통치를 둘러싼 국내 여러 정치세력들의 찬반논리에서 생겨났다고 볼 수 있으므로 우..
해방 직후의 대한 민국의 신탁 통치문제와 단정 수립 과정 검토1 (한국 현대사) 해방 직후의 대한 민국의 신탁 통치문제와 단정 수립 과정
1. 들어가며
해방 직후 한국은 서로 대립하는 이해 당사자들의 국제적 싸움터가 되었고 세계제패를 위해 다투고 있는 양대 열강의 아시..
해방정국과_미소군정_ •
과 목 명 :
•
담당교수 :
•
학 과 명 :
•
학 번 :
•
성 명 :
•
제출일자 :
해방정국과 미·소 군정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해방이 오게 된 배경
2. 대한정책의 결..
한국의 정치적 맥락속의 산업화 과정 정치적 맥락 속의 한국의 산업화 과정
서론
현재 우리는 IMF 신탁통치하에서 벗어나기위해 갖은 발버둥을 치고 있다. 여러 가지 시각에서 해결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1년이 넘게 지난 이 시점에서 좀 더 근본적..
해방 직후 한국 문제에 관한 모스크바 3상회의 해방 직후 한국 문제에 관한 모스크바 3상회의
1. 들어가며
한국문제에 관한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은 당시 미국과 소련의 냉전논리가 그대로 한반도에 반영된 것을 보여 주는 가장 구체적인 사례중의 하나다.
..
(A+ 레포트) 최인훈의 <광장>을 읽은 소감 이 자료는 최인훈의 <광장>을 읽고 난 소감을 작성한 A+ 레포트이다.
I. 서론
II. 본론
1. 등장인물 분석
2. <광장>의 배경
3. ‘갈매기’의 상징성
4. 광장의 줄거리
5. 감상의 길잡이
6. <광장>에서의 밀실..
현대사회와대중문화 미디어콘텐츠 현대사회와 대중문화
한국의 대중음악 역사
우리 민족은 반도국가라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예부터 외세의 침략을 받으며 시련을 격어 왔다. 하지만 워낙 풍류를 좋아하는 민족적인 바탕 때문에 그렇게도 모질고 험..
좌우익단독정부 해방후 좌우익 갈등과
단독정부 수립
목차
1. 해방과 분단의 정치사적 인식
1)해방의 의미
<누구에 의해 어떻게 해방되었는가>
a.주어진 해방론 (타율적 해방론)
b.자주적 기여론 (주체적 해방준비론)
c...
북한의정치경제 북한의 정치 경제
제1장 북한주민의 정치.경제.사회관 : 규범과 현실
1. 북한주민의 가치관 형성 및 변화의 조건
2. 정치개념과 대중-지도자 관계
3.북한사회관의 논리적 기초 : 사회주의 대가정론
4. 집단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