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점
산업사회의 발전은 위험한 기계 및 유해한 화학물질 사용의 증가를 수반하였고 산업재해를 증가시켜왔다. 재해를 당한 이후의 사후구제적 치료 및 보상도 중요하지만 사전적 예방적인 측면에서 산재예방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2. 의의
산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 내의 안전·보건관리체계의 확립이 중요하므로 산안법에서는 이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II. 관리의 주체
1.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보건관리책임자(산안13)를 두어야 할 사업장은 원칙적으로 근로자 100명 이상 사업장이다. 산안령9 및 산안칙12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두어야 할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당해 사업장에서 사업을 총괄·관리하는 자여야 한다. 공장장·지점장·사업소 소장 또는 현장소장 등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안전보건관리업무를 총괄·관리하며 구체적인 관리사항에 대하여는 산안법13①1.-9.에서 명시하고 있다.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선임한 때는 그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관리책임자 등 선임보고서’를 관할 지방노동관서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안전보건총괄책임자(산안18)란 동일한 장소에서 행하여지는 사업에 있어/당해 근로자/및 수급인이 사용하는 근로자에 대한/산업재해의 예방을 총괄·관리하는 자이다.
안전보건관리책임자가 안전보건총괄책임자가 되며,/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두지 않아도 되는 사업장은 사업의 실시를 총괄·관리하는 자로 지정하여야 한다(산안72②).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는 중대재해 발생시 작업중지, 도급사업에 있어서의 안전·보건조치 등이다(산안령24).
3. 안전관리자
안전관리자(산안15)란 안전에 관한 기술적 사항에 대하여/사업주 또는 안전보건 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관리감독자에 대하여 지도·조언하는 자이다.
....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관리체계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관리체계
1.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가. 적용사업 : ①상시근로자 100인이상을 사용하는 사업
②상시근로자 100인미만을 사용하는 사업중 노동부령이 정하는 사업
나. 임무 : 안전보건관리..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관리규정 개요1 산안법상 안전보건관리규정 개요
Ⅰ. 들어가며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는 사업장의 안전, 보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 각 사업장에 게시,비치하고 이를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이러한..
현행 산안법상 안전보건관리체제 검토1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관리체제 검토
Ⅰ. 들어가며
산업안전보건확보를 위한 안전보건관리체제는 종전에는 스탭 형 안전보건관리체제로 운영되어 왔으나, 현행 산안법은 생산의 관리감독자(경영조직서 생산 ..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 위험 방지조치 산안법상 유해 위험 방지조치 (산업안전보건법)
I. 들어가며
1. 논점
산업사회의 발전은 위험한 기계 및 유해한 화학물질 사용의 증가를 수반하였고 산업재해를 증가시켜왔다. 재해를 당한 이후의 사후구제적 치..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사전 감독 및 사후 감독 산안법상의 사전 사후 감독
Ⅰ. 들어가며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안전보건관리체계 안전보건관리체계입니다.
안전보건관리체계
구분
선임(전담)자
자격유무
자젹내용
안전보건총괄채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담당자
안전보건위원회
노동부에서 각 시공 회사로 기시달, 구성 및 운영..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와 근로자의 주요 의무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와 근로자의 주요의무 (유해, 위험 예방조치)
Ⅰ. 서설
1. 산재예방의 필요성
산업사회의 발전은 위험한 기계 및 유해한 화학물질 사용의 증가를 수반하였고 산업재해를 증가시켜왔다. 따..
산업안전보건법상의 감독 산업안전보건법상의 감독, 명령에 대하여
Ⅰ. 서
1. 의의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헌법 제34조 제6항)을 하여야 하고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재해예방에 관한 구체적인..
2025 BGF로지스 안전보건 자기소개서 및 면접 안전보건 직무에서는 위험성 평가 역량, 법규 준수 및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능력, 현장 소통 및 안전교육 역량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BGF로지스 안전보건팀에서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