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서론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21세기는 지식정보화 시대, 테크놀로지의 시대, 디지털 시대라는 이름을 얻음.
◆각종 전자기기 및 인터넷, 이메일, 휴대전화는 이미 많은 이들의 삶의 일부가 됨.
◆우리나라는 세계 1위의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전체 국민 수를 넘어선 휴대전화 보급대수
◆청소년의 97 컴퓨터 사용률을 자랑함.
◆born digital 또는 넷 세대(Net generation) = 태어나는 순간부터 디지털 문화를 접하는 전자문화를 체득한 이들
◆디지털 원어민(digital native) = 모국어를 하듯 디지털 언어나 기기를 자유롭고 능숙하게 사용하는 세대
◆디지털 이민자(digital immigrant) = 후천적으로 디지털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이들
제 2 장 디지털 시대의 문식성(literacy)
◆문식성이란
1. 문맹과 상치되는 개념.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의미
2. 읽기의 대상(문자, 이미지, 영상, 기호, 복합양식, 하이퍼텍스트 등)
3. 쓰기나 표현의 사용과 의사소통의 양상
4. 문식 활동이 생산되고 수용되고 해석되는 사회.정치.역사.문화적인 맥락의 변화 속에서 끊임없이 재구성되옴.
◆과거에는 ‘종이’라는 매체에 한정되어 있었지만 종이와 책을 넘어선 ‘새로운 문식성’이 요구되고 있다. 때문에 21세기는 ‘문식성의 재개념화 시기’라고 불린다.
◆Games Gee Allan Luke 외 10명
-신(新) 문식성(New Literacies) = 디지털 사회의 문식
-다중 문식성(M\multiliteracies) = 문자 언어 중심의 전통적인 문식성에서 벗어난 문식성
◆2002년 ‘21세기 문식성 정상회의(21st Century literacy Summit) 개최
-새로운 문식성의 주요 요인으로 ‘테크놀로지 문식성’ ‘정보 문식성’ ‘매체 창의성’ ‘사회적 유능함과 책임감’ 제안
....
교과교육론 디지털시대의 청소년 독자와 비판적 읽기
시대 디지털
독자 청소년
읽기 비판적
Key word
CHAPTER 1. 디지털 시대
이게 뭐가 중요한데
CHAPTER.1 디지털 시대의 의의
글(정보)을 담는‘매체’의 변화
문식성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