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폐쇄란 사용자가 노동쟁의의 상대방인 근로자들에 대하여 노동쟁의를 자기에게 유리하게 전개시킬 목적으로 노무의 수령을 집단적으로 거부하는 행위를 말한다.
헌법과 노동관계법은 근로자의 쟁의권에 관하여는 이를 적극적으로 보장하는 명문의 규정을 두고 있는 반면 사용자의 쟁의권에 관하여는 이에 관한 명문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그 취지는 일반 시민법에 의하여 압력행사 수단을 크게 제약받고 있어 사용자에 대한 관계에서 현저히 불리할 수밖에 없는 입장에 있는 근로자를 그러한 제약으로부터 해방시켜 노사대등을 촉진하고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힘에서 우위에 있는 사용자에게 쟁의권을 인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개개의 구체적인 노동쟁의의 장에서 근로자측의 쟁의행위로 노사간에 힘의 균형이 깨지고 오히려 사용자측이 현저히 불리한 압력을 받는 경우에는, 사용자측에게 그 압력을 저지하고 힘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대항․방위 수단으로 쟁의권을 인정하는 것이 형평의 원칙에 맞다. 노노법은 이 같은 경우를 상정하여 사용자의 직장폐쇄를 노동조합의 동맹파업이나 태업 등과 나란히 쟁의행위의 한 유형으로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대법원 2000. 5. 26. 선고 98다34331 판결
2. 직장폐쇄 허용 범위 및 효과
직장폐쇄는 방어적․대항적 직장폐쇄만 허용된다. 직장폐쇄는 시기적으로 노동조합의 쟁의행위가 개신된 이후에만 할 수 있다(노노법 제46조 제1항). 근로자의 쟁의행위가 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비록 교섭 국면이 아무리 사용자에게 불리하다고 하더라도 직장폐쇄를 할 수 없다. 요컨대 선제적 직장폐쇄는 허용되지 않으며 대항적 직장폐쇄만 허용된다. 대항성의 요건은 직장폐쇄의 개시요건일 뿐만 아니라 존속요건이다. 따라서 쟁의행위가 끝난 이후에는 직장폐쇄를 계속할 수 없다.
....
직장폐쇄 관련 판례 직장폐쇄 관련 판례 연구 (노조법)
1. 직장폐쇄 관련 주요 법리
직장폐쇄란 사용자가 노동쟁의의 상대방인 근로자들에 대하여 노동쟁의를 자기에게 유리하게 전개시킬 목적으로 노무의 수령을 집단적으로 거부..
직장폐쇄 관련 주요 판례 검토 직장폐쇄 관련 주요 판례 검토
1. 법적근거
직장폐쇄의 법적 근거에 대하여 판례는 다음과 같이 판시하였다.
“우리 헌법과 노동관계법은 근로자의 쟁의권에 관하여는 이를 적극적으로 보장하는 명문의 규정을 ..
쟁의행위로 인정된 주요판례연구1 노조법상 쟁의행위로 인정된 주요 판례 연구
1. 들어가며
쟁의행위라 함은 파업․태업․직장폐쇄 기타 노동관계 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할 목적으로 행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
쟁의행위로 인정된 주요 판례 쟁의행위로 인정되는 주요 사례 판례 연구 (노조법)
1. 들어가며
쟁의행위라 함은 파업․태업․직장폐쇄 기타 노동관계 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할 목적으로 행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
준법투쟁의 법적 성질과 직장폐쇄의 정당화 요건 준법투쟁의 법적 성질과 직장폐쇄의 정당화 요건 (판례평석)
대상 판결 : 제주지방법원 1997.7.1 선고 96가합1807 판결(임금)
1. 사건의 개요 및 대상판결의 요지
(1) 사건의 개요
택시회사(주식회사 성일운수)..
직장폐쇄의 요건과 효과에 관한 법적 연구 직장폐쇄의 요건과 효과에 관한 연구 (노조법)
I. 들어가며
1. 의의
직장폐쇄라 함은 사용자가 노동조합의 쟁의행위에 대항하여 직장을 폐쇄함으로써 근로자들의 근로수령을 거부하고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 사용..
사용자측 쟁의해위로서의 직장폐쇄 사용자측 쟁의행위로서의 직장폐쇄
1. 직장폐쇄의 의의
직장폐쇄란 사용자가 근로자측의 쟁의행위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행위를 말한다.
직장폐쇄의 성립과 관련하여 ① 사용자의..
직장 점거관련 주요판례검토1 노조법상 직장점거 관련 주요 판례 검토
1. 직장점거의 정당성 인정 범위
- 직장점거는 사용자측의 점유를 완전히 배제하지 아니하고 그 조업도 방해하지 않는 부분적, 병존적 점거일 경우에 한하여 정당성이 인..
직장점거 관련 주요 판례 직장점거 관련 주요 판례 (노조법)
1. 직장점거의 정당성 인정 범위
- 직장점거는 사용자측의 점유를 완전히 배제하지 아니하고 그 조업도 방해하지 않는 부분적, 병존적 점거일 경우에 한하여 정당성이 인정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