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의 개념
고대의 행정 ⇨ 유럽의 행정(행정법학적 개념) ⇨ 미국의 행정(행정학적 개념) ⇨ 한국의 행정 ⇨ 광의의 행정(공․사행정 일원론) ⇨ 협의의 행정(공․사행정 이원론) ⇨ 현대 행정
1. 행정학적 개념
⑴ 1887년 W. Wilson 대통령의 「행정의 연구」라는 논문에서 시작 ⇨ 행정학의 기원(‘미국’에서 시작)
⑵ 행정관리설 ⇨ 통치기능설 ⇨ 행정행태론 ⇨ 발전행정론 ⇨ 신행정학
2. 한국의 행정
⑴ 조선시대의 행정과 유사한 학문 ⇨ 실학
⑵ 조선시대 행정사를 연구한 사람 ⇨ 정약용(다산)
⑶ 현대 한국행정에 영향을 미친 국가 ⇨ 미국(비교행정의 영향, Riggs)
⑷ 1956년 한국 행정학회 설립
3. 고대의 행정(J. Lepawsky)
⑴ 행정의 기원을 고대(이집트, 중국시대)까지 소급한 최초의 학자
⑵ 「공공행정학」의 저자
⑶ 행정이란 철학이나 신학보다 더 우선한다고 주장
4. 행정법학적 행정개념
⑴ 발달배경
① 18세기 근대 자유주의 사상과 관련
㉠ Locke의 2권분립:입법권․집행권
㉡ Montesquieu의 3권분립:입법권․사법권․행정권
(2) 학 설
① 3권분립 공제설
㉠ 행정을 입법과 사법을 제외한 국가활동으로 간주
㉡ 소극설, 공제설
㉢ Jellinek, Hatschek
㉣ 행정 하나만으로 국가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다는 비판
㉤ 명확한 3권분립이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비판
② 국가목적 실현설
㉠ 행정을 국가목적인 공익을 적극적․구체적으로 실현하는 행위로 간주
㉡ 적극설
㉢ Mayer, Myer
③ 법함수설
㉠행정이란 법이 만들어 놓은 규범이나 정책결정을 단지 집행하는 활동으로 간주한다
㉡ 부정설
㉢ 비엔나학파가 강조(Kelsen, Merkel)
④ 기관양태설(결과실현설, 긍정설)
㉠ 국가목적 실현설에 불만을 느끼고 행정의 적극적 개념을 강조하면서 행정을 법률의 범위 안에서 국가목적을 실현하려는 능동적인 작용으로 간주
㉡ Fleiner
⑤ 행정과정설
....
행정학의 개념과 의미 행정학의 개념과 의미
목차
Ⅰ. 행정학을 위한 서설
Ⅱ. 행정이란 무엇인가?
1. 행정의 정의
1) 행정은 과학인가, 기술인가?
2) ‘공공행정’이란 의미의 이중용법
3) 합리적 행동의 개념
2. 행정의 의미
1) 조..
[행정학개론] 행정학이란 무엇인가 [행정학개론] 행정학이란 무엇인가
탐구의 필요성이 없는 실용적인 학문은 결코 연구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탁월하게 실용적인 행정학이 이 나라의 대학에서 자리를 잡고 있다는 사실은 바로 미국식 ..
[행정학개론] 행정학이란 무엇인가 [행정학개론] 행정학이란 무엇인가
탐구의 필요성이 없는 실용적인 학문은 결코 연구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탁월하게 실용적인 행정학이 이 나라의 대학에서 자리를 잡고 있다는 사실은 바로 미국식 ..
[행정학] 품의제란 무엇인가 품의제란 무엇인가
1. 개념
품의제란 행정기관내부에서 행정방침의 결정이나 행정처분 등을 할 필요가 있을 때 해당담당자가 문서를 기안․작성하여 결정권을 가진 상관의 승인을 얻는 절차에 관한 결제제도를 의..
[행정학] [행정]나라 지방자치의 역사 차례
(1) 지방 자치란 무엇인가
(2) 고려의 지방자치
(3) 조선의 지방자치
(4) (일제강점기~해방)
(5) 권위주의 통치시대
(6) 이승만 정권시대의 지방자치
(7) 1960.4-1961.5의 지방자치
(8) 박정희 정권..
A+ 인천공항시설관리 정기채용 신입_행정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또한, 인턴십과 교내 봉사활동을 통해 실제 행정업무를 경험하면서 체계적인 문서 작성, 정확한 자료관리, 일정 조율, 행정지원 등 실무역량을 강화했습니다.
저는 행정학 전공지식과 다양한 실무 경험, 그리고 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