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 합리성이론과 집단행동

1. [정치학] 합리성이론과 집단행동.hwp
2. [정치학] 합리성이론과 집단행동.pdf
[정치학] 합리성이론과 집단행동
정치경제학
- 합리성 이론과 집단행동 -

I. 이론적 토대: 합리적 선택

1. 배경: 신고전파 경제학자들의 영향.

(1) 방법론적 개인주의: 시장과 보이지 않는 손

(2) 수요과 공급, 그리고 균형점(equilibrium)

(3) 시장원칙이 공공정책결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신념: 정치시장(political marketplace)

2. 합리성:

1) 선호: 완전성(Completeness), 전이성(Transitivity), 합리성(Rationality)

2) 신념: 대안적 행위들과 그 결과에 대한 신념

3) 기회(Opportunities): 자원, 제약 그리고 그 속에서 가능한 결과들

4) 행위(Actions): 관찰된 행위자의 선택

3. 효율성(Efficiency)

(1) 희소성(Scarcity): 일반적으로 선호의 순서에 표현된 모든 바램들을 완전히 만족시켜줄 수가 없다.

(2) 개별적 효율성(Individual efficiency): 기업의 경우, 동일한 양의 투입을 통해서 더 많은 산출을 생산해 낼수 있도록 투입요소들을 재구성할 수 없을 때 효율적 상태. 개인소비자는 주어진 재정의 제약(budget constraint) 하에서 보다 많은 효용을 얻을 때.

(3) 파레토 최적(Pareto Optimality):A collective allocation of optimal if resources cannot be rearranged so as to make anyone better off without making anyone worse off.

II. 공공선택이론(Public Choice Theory)

1. The fundamental premise of public cho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