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제
가. 통제의 의의 ; 행정의 실시가 계획한 바대로 행하여지고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고 계획과 실시간의 격차를 바로잡는 것을 말한다. 즉 실시의 단계에서 계획대로 진행되는가를 검증하는 기능이다.
나. 통제의 특성 ; 사후에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계획을 실제로 집행하는 과정에서 행해진다.
다. 통제의 7 가지 원칙
1) 계획과 실시간의 차이가 발견되면 즉시 조치를 강구한다.
2) 적절한 통제(너무 사소한 것 까지 통제하면 업무 위축)
3) 감정적 처리 억제하고 인간적인 바탕으로 접근
4) 상황에 따른 통제수단과 방법 선택
5) 통제의 융통성 ; 계획 변경, 예기치 않은 사태 발생, 실패 등에 대해서도 통제할 수 있어야.
6) 계획기준과 실시기준을 비교할 수 있게 한다.
7) 업무의 흐름을 전반적인 관점에서 파악.
라. 통제의 4 단계 과정
1) 통제 기준 설정 ; 가능한 계량적으로 설정
2) 현상 파악 ; 관찰, 구두보고, 보고서 제출 등에 의함.
3) 비교검토와 평가 ; 통제기준과 파악된 현상의 비교검토 및 평가
4) 시정조치 ; 가장 중요한 단계
2. 조정
....
사회복지행정조직의 갈등관리(갈등의 개념과 원인, 갈등관리전략) 사회복지행정조직의 갈등관리(갈등의 개념과 원인, 갈등관리전략)
목차
사회복지행정조직의 갈등관리
I. 갈등과 갈등관리의 개념
II. 갈등의 원인
III. 갈등관리전략
* 참고문헌
...
입법부의 행정통제 입법부에 의한 행정통제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연구
목차
═══
Ⅰ
서론
Ⅱ
행정통제
1
개념
2
행정통제의 필요성
3
일반적 행정통제의 종류
(1) 외부통제
(2) 내부통제
Ⅲ
입법부에 의한 행정통제
..
[사회복지행정론] 예산집행(예산통제의 원칙, 예산집행 통제기제) [사회복지행정론] 예산집행(예산통제의 원칙, 예산집행 통제기제)에 대한 레포트 자료.
[사회복지행정론] 예산집행(예산통제의 원칙, 예산집행 통제기제)
목차
[사회복지행정론] 예산집행
I. 예산통제의 ..
사회복지행정의 관리과정 사회복지행정의 관리과정
사회복지행정에서 관리(management)란 서비스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공과 서비스의 유지관리를 의미한다.
Weinbach는 "사회복지에서의 관리란 환경에 긍정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효과..
[사회복지행정론] 통제의 의의와 특성, 통제의 원칙, 통제과정 사회복지행정론] 통제의 의의와 특성, 통제의 원칙, 통제 과정
객관적인 통제
기획과 실행의 차이를 통한 통제
통제 기준 설정
통제기준과 파악된 현상과를 비교, 검토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인 간적인 통제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