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산의 개념
① 예산(budget)은 일정기간(보통 1년)동안 정부의 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한 재정수입과 지출내역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계획서를 의미
② 예산은 정부활동에 대한 일종의 계획서이지만 재정활동의 지침이 되며, 정부활동의 전반을 구속하는 구속력을 갖고 있음
(2) 예산의 기능
1) 통제기능
① 예산은 국민이 대표기관인 국회를 통해서 활동을 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국회는 심의과정에서 국민의 의사를 예산에 반영
② 역사적으로 볼때 예산제도는 국가의 조세수입과 그 지출에 대한 견제수단으로 발달
2) 관리기능
① 관리기능이란 예산편성과정에서 각 부처의 다양한 사업계획을 심사․검토하고, 시행이 결정된 사업에 소요자원을 배분하고, 배분된 자원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② 이와 같은 관리기능을 통하여 제한된 재정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국민후생의 증대가 가능
3) 계획기능
① 예산편성과정에서 다양한 대체안을 평가하여 바람직한 정책대안을 선택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결정하는 계획기능이 있음
② 점차적으로 예산은 통제중심에서 관리중심으로, 관리중심에서 계획중심으로 그 기능의 중요성이 이동하여 왔음
2. 예산제도의 변천
(1) 복식예산제도
1) 개요
① 복식예산제도란 예산을 경상예산(current budget)과 자본예산(capital)으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예산제도를 의미
②이 제도는 매년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상지출은 조세 등과 같은 경상적인 수입으로 조달하고, 비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자본적 지출은 차입을 통해 조달하더라도 무방하다는 견해에 입각하고 있음
③ 1930년대에 스웨덴․덴마크 등의 국가에서 채택
2) 장점
① 공채발행 등을 통한 적자재정이 허용되므로 효과적인 경기대응이 가능
② 정부의 투자활동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③ 정부의 순자산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
3) 단점
....
[재정학] 공공경비와 예산제도 공공경비와 예산제도
Ⅰ. 공공경비
1. 공공경비의 개념 및 분류
(1) 공공경비의 개념
① 공공경비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효율적인 자원배분, 소득재분배, 경제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출하는 비용을 의..
2학기 재무행정론 중간 예산원칙 세출예산결정방식7p 합리모형과 점증 모형을 중심으로 세출예산 결정 방식을 분석하여,
이에 예산 원칙 또한 합법성 중심에서 성과·책임 중심의 관리 원칙으로 발전하였다.
현대적 예산 원칙
합리 모형과 점증 모형에 기초한 세출예산..
재정학에 대해 제 1 장 財政學에 대한 관심 끌기
1. 財政學이란 무엇인가.
1.1 財政이란 무엇인가
財政이란 무엇인가 재정을 가장 넓은 의미에서 일반적으로 정의하면 ‘국가(및 지방자치체)의 경제’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