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만어 ðȏn tun 동사의 형태체계가 역사언어학에서 관심을 끌게된 계기는 J. Grimm 등의 합성론 Kompositionstheorie1)
1) dȏn-theorie라고도 불리우며 대표자는 Bopp, Grimm, Kluge 등이며 이들은 약변화 과거형의 치음후철의 유래를 idg.*-dh-로만 고집하지만 Paul, Birkhan 등은 소위 mixed origin 을 주장한다. Birkhan (1979) § 61 ; Paul, IF, Bd 7, S. 136 ff ;Lühr (1984) S. 44 ff.
에서 약변화 과거형의 형성에 ðȏn동사의 과거 어간형이 주요 구성성분으로 참여 되었으며 과거 표시 기능을 가진 치음 후철의 기원이라고 주장한 이후부터 이에 관한 찬, 반의 이론들이 무성해졌고 당연히 문제의 초점인 ðȏn동사의 형태체계가 통시적 측면에서 다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약변화 과거형만큼 ðȏn동사의 주요 어간형들에 관해서도 역시 이론은 무성하나 아직도 그유래와 변형의 메카니즘은 불확실하다. Meid는 ðȏn동사의 사용 빈도수가 높은데도 불구하고 고텐어와 고대북구어에서 독립동사로써 소멸된 것은 그원인이 지나친 형태적 불규칙성 때문일 것으로 추측한 바있다. 초기근대고지독어부터 동사의 형태체계를 단순화시키려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Gottsched와 Adelung 등과 같은 문법학자들에 의해 어형변화에대한 제 규범이 확정됨으로써2)2) Stedje, Astrid (1989) S. 156.
....
영화동사서독줄거리및시간과사랑에대한고찰 동사서독 줄거리
장 르 : 드라마 /무협
국 가 : 홍콩, 대만
감 독 : 왕가위
제 작 : 채송림
각 본 : 왕가위
촬 영 : 크리스토퍼 도일
음 악 : 프랭키 챈
주 연 : 장국영, 양가휘, 양조위, 장만옥, 임청..
중국어의동보식복합동사의형성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
0. 들머리
본고에서는, 중국어에서 결과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보어] 형식의 복합 동사, 즉 ‘동보식 복합 동사’에 대해서 분석하려 한다. 이 분석은 GB 이론의 틀 안에서 주로 다음 사..
영미문학 - Bildungsroman; 교양소설 영미문학 - Bildungsroman; 교양소설
차례
1. Bildungsroman 의미
2. Bildungsroman 하위 장르
3. Bildungsroman 예시
4. Bildungsroman 특징
1. Bildungsroman의 의미
Bildungsroman이란 용어는 자기 개..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과제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과제
Ⅰ. 머리말
Ⅱ.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
1. 전통문법적 연구: 품사론 속의 형태론
2. 구조문법적 연구: 단어구조, 어미체계, 파생접미사의 기술
3. 생성형태론: 단어형성론과 ..
[부모교육] 가족지원의 특징 부모교육]가족지원의 특징
그리고 이러한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부모교육이 바로 가족지원이다.
부모 교육에서 가족지원으로의 전환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호작용적 관점에..
[게슈탈트치료] 게슈탈트상담이론에서의 인간관 [게슈탈트치료] 게슈탈트상담이론에서의 인간관
인간은 경험하는 유기체로서 자신의 사고, 감정, 행동을 통해 내적으로 그리고 외적으로 야기되는 사건과 접촉을 하며 살아간다. 자신이 접촉하여 경험하는 현상을..
이것만 보면 OCP 그냥 딴다 OCP DUMP자료 및 예상문제 총정리판입니다.
pl/sql, admin, backup, tunning, netadmin,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등..
이것만 확실히 공부하면.. 아니 외워버리면 OCP 그냥 땁니다.
[영문판]웅진씽크빅분석,유아교육,웅진씽크빅마케팅전략,웅진씽크빅기업분석 [ Strategic Managemet ]
Woongjin Thinkbig
CONTENTS
New Strategy
5
New Vision and Goals
4
1. Company Introduction
Vision
To be a Great company most people want to respect
Launching Middle School Ho..
영국의장원과마을 영국의 장원과 마을
중세의 영국은 토지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였다. 궁극적으로는 왕의 땅이었으나, 차례대로 봉건영주들의 지배로 내려와 결국은 자신의 땅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토지를 누구나 소유하고 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