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지는 플라톤의 대화편들 가운데 아마도 가장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논의를 담고 있는 [테아이테토스]편은 ぢ앎(epistēmē)이란 무엇인가っ를 주제로 하여 소크라테스의 대화상대자인 젊은 수학자 테아이테토스가 앎의 정의로 될 만한 것들을 제안하면 가능한 한그 의미를 살려주거나 기존의 영향력있는 교설들과도 연관시켜서 그것들이 담고 있는 함축들을 살펴본 후에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디알렉티케(변증술)의 전형적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플라톤이 이전 대화편들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고 생각되는 앎의 で전통적と 정의(즉 로고스를 가진 참된 doxa)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며 결국 -적어도 표면상으로는- 별다른 긍정적 결과 없이 아포리아로 대화편을 마감하고 있다는 점이 우리를 당혹스럽게 하며, 이 글은 이 아포리아에 대한 해명을 시도한다. 따라서 이 아포리아 바로 앞에 위치하면서 아포리아를 유발하는 주된 계기가 되는 소크라테스의 で꿈と이야기에 대한 해석상의 여러 문제들이 이 글의 주된 검토대상이다.
....
일반적 인식론 강의 요강 인식론의 간략한 역사
○ 인식론의 물음 : 과학을 지식의 체계라고 할때그 지식이란 무엇인가
→ 고대 플라톤 철학에서도 핵심적인 주제였으며 근대의 경험론과 합리론, 그리고 칸트의 비판철학의 주요 문제였고..
미토스(mythos)와 로고스(logos)
미토스(mythos)와 로고스(logos)
미토스(mythos)와 로고스(logos)에 대해 논하기 전, 우선 미토스에 관해 알아 보았다. 미토스(mythos)의 사전적 의미는 이야기, 신화였다.좀더 그 의미에 대해 깊게 들어가자..
숙련으로서의 습관에 대한 헤겔 비판 숙련으로서의 습관에 대한 비판
서론
많은 철학자들이 정신이나 의식, 혹은 좀더 포괄적으로는 마음에 관해서 자신의 철학을 펼치지만 그 속에서 습관에 대해서 언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특히나 습관의 한 특..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원론적견해 플라톤은 인간을 이원적으로 보는 견해를 마련해 준 주요원천 중의 하나다. 이 이원론에 의하면, 인간의 영혼이나 정신은 육체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비 물질적인 실체다. 플라톤은 인간의 영혼이 파괴될 수 없다. ..
정신(Nous)에_관한_고대철학적_논의 정신(Nous)에 관한 고대철학적 논의
<소크라테스 이전>
인간과 자연 그리고 우주의 질서를 유지하면서 사물들의 생성과 변화를 조종하는 원리가 있는데 이것은 이성 이나 정신 또는 로고스 등으로 불리워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