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항온동물에 속한다. 내 곁의 사람이든 나든 인간이라면 37℃라는 특정 온도를 띠고 있다. 그런데 왜 하필 37℃일까.
36.5 또는 37.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이 숫자가 인간의 체온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이 숫자만큼이나 인간의 체온이 단순할까. 때때로 자신의 팔을 만져보면 따뜻한 정도가 항상 똑같지 않다. 인간은 항온동물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고 하는데, 왜 팔과 같은 인체 부위의 온도는 일정하지 않을까. 사실 ‘일정한 체온유지’는몸 전체에 해당되는 말은 아니다. 인간의 체온유지는 몸통 내 여러 장기, 예를 들어 심장, 신장, 폐, 간, 내장 등에만 의미가 있다. 이런 장기에서는 37℃ 정도로 거의 균일하게 유지되는데, 이를 심부온도라고 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체온이라고 하면 바로 이 심부온도를 말한다. 그렇다면 피부와 같은 말초조직의 온도는 무엇이 결정하는 것일까. 외부환경에 의해서일까.
손발은 차지만 이마는 따뜻하다
인체는 대사작용에 의해 끊임없이 열을 생산한다. 안정한 상태에서 체내 열생산의 70% 이상은 여러 장기에서 일어나며, 피부나 근육 등의 말초조직에서는 약 30%의 열량을 생산한다. 따라서 피부조직은 그 자체에서 생성되는 열량이 아주 작기 때문에 피부온도는 혈액순환에 의해 체심부로부터 피부로 운반되는 열량에 의해 결정된다.
....
인간의 체온조절 - 인간의 체온조절 -
인간은 생명현상 유지에 체온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 약간의 온도 변화에도 물질대사 속도가 변하고 효소활동도 영향을 받으며 생명활동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까지 생긴다.
1) 체온..
[인체생리학] 환경 온도의 변화에 따른 인간의 생리적 적응 [인체생리학] 환경 온도의 변화에 따른 인간의 생리적 적응
1. 서론
체내 세포는 체온, 혈압, 맥박수, 혈액의 산도와 성분들, 체수분량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물리적‧화학적 변수들이 좁은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