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왕실 호칭의 상징성

1. 조선시대 왕실 호칭의 상징성.hwp
2. 조선시대 왕실 호칭의 상징성.pdf
조선시대 왕실 호칭의 상징성
조선시대 왕실 호칭의 상징성

호칭이란 직접 대놓고 부르는 대칭도 되고 3인칭으로 일컫는 대명사도 된다. 궁중어의 경우 호칭은 보통 2인칭으로는 존칭과 대치된다. 즉 왕에 대하여 ‘상감마마’니‘대전마마’니 ‘주상전하’니 하지 않고 보통은 그냥‘마마’, 공적으로는 전하라 부른다는 뜻이다. TV사극에서 새파란 궁녀가 대놓고‘대왕대비마마’ ‘중전마마’등 존칭 위에 호칭을 얹어 부르는 것은 옛 궁중법도로 치면 당돌하고 무엄하기 그지 없다.
대궐 안의 생활체제는 각 왕족마다 독립세대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그 전각의 주인은 당연히 ‘마마’이기 때문이다. 절대군주에 대한 외경심은 존칭마저도 거부할 때가 있다. 예컨대 왕이 출입할 때 시위를 맡은 내관이 그 앞에서 조심스런 목소리로 ‘시위―듭시오!’하고 외친다. TV사극에서와 같이 낭낭한 음성으로 ‘상감마마, 듭시오!’하고 외치는 것은 그야말로 연극일 따름이다.

‘마마’란 중국어의 ‘마마(綾綾)’의 차용이지만 한국 궁중어의 있어서 최고 존칭호이다. 그런데 이‘마마’에 님자가 하나 덧붙여짐으로 오히려 격하되어 ‘상궁’의 존칭이 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그러나 논리 이전의 관습이니 어찌하는 수 없다. 한편 이 ‘마마님’은 상궁의 존칭 외에 민간에서는 대가집 소실들의 칭호에도 쓰인다. 이 의미를 추궁해 보건대 일맥상통하는 마디가 있다. 왜냐하면 궁녀들이란 어차피 넓은 의미의 내명부(內命婦)즉 왕의 부실(副室)감들이기 때문이다.

그중 고등관 대우의 상궁들에게만 ‘마마님’이 바쳐진다는 것은 체통상의 배려인 것 같다. 왜냐하면 왕의 사랑을 얻는 것을 승은(承恩)이라 하는 바, 승은하는 궁녀는 입궁 30년이 되어야 오를 수 있는 상궁이 아니고 앳되고 야릿야릿한 젊은 궁녀가 보통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