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이란 직접 대놓고 부르는 대칭도 되고 3인칭으로 일컫는 대명사도 된다. 궁중어의 경우 호칭은 보통 2인칭으로는 존칭과 대치된다. 즉 왕에 대하여 ‘상감마마’니‘대전마마’니 ‘주상전하’니 하지 않고 보통은 그냥‘마마’, 공적으로는 전하라 부른다는 뜻이다. TV사극에서 새파란 궁녀가 대놓고‘대왕대비마마’ ‘중전마마’등 존칭 위에 호칭을 얹어 부르는 것은 옛 궁중법도로 치면 당돌하고 무엄하기 그지 없다.
대궐 안의 생활체제는 각 왕족마다 독립세대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그 전각의 주인은 당연히 ‘마마’이기 때문이다. 절대군주에 대한 외경심은 존칭마저도 거부할 때가 있다. 예컨대 왕이 출입할 때 시위를 맡은 내관이 그 앞에서 조심스런 목소리로 ‘시위―듭시오!’하고 외친다. TV사극에서와 같이 낭낭한 음성으로 ‘상감마마, 듭시오!’하고 외치는 것은 그야말로 연극일 따름이다.
‘마마’란 중국어의 ‘마마(綾綾)’의 차용이지만 한국 궁중어의 있어서 최고 존칭호이다. 그런데 이‘마마’에 님자가 하나 덧붙여짐으로 오히려 격하되어 ‘상궁’의 존칭이 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그러나 논리 이전의 관습이니 어찌하는 수 없다. 한편 이 ‘마마님’은 상궁의 존칭 외에 민간에서는 대가집 소실들의 칭호에도 쓰인다. 이 의미를 추궁해 보건대 일맥상통하는 마디가 있다. 왜냐하면 궁녀들이란 어차피 넓은 의미의 내명부(內命婦)즉 왕의 부실(副室)감들이기 때문이다.
그중 고등관 대우의 상궁들에게만 ‘마마님’이 바쳐진다는 것은 체통상의 배려인 것 같다. 왜냐하면 왕의 사랑을 얻는 것을 승은(承恩)이라 하는 바, 승은하는 궁녀는 입궁 30년이 되어야 오를 수 있는 상궁이 아니고 앳되고 야릿야릿한 젊은 궁녀가 보통이기 때문이다.
....
한국의 전통색 - 한국인의 색채의식 Ⅰ. 한국인의 색채의식
1. 전통색의 개념
2. 백색지향의 색채의식
3. 정색과 간색
4. 한국색채의 표현
Ⅱ. 한국인의 색채감성
1. 한국인의 색채 감성 공간
2. 한국인의 지역별 색채 감성 공간의 비교
3. 한국인이 사..
[한국학] 규장각, 집현전, 홍문관의 역할과 기능 규장각, 집현전, 홍문관의 역할과 기능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집현전
2-2. 홍문관
2-3. 규장각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1. 서론
조선시대의 왕은 국가의 최고의 권력자로서 사회를 통치했다. ..
생활원예 이용 실태 현황 생활원예 이용실태 현황
원예식물을 비교적 제한된 면적에서 집약적인 기술 ·투자 ·노동력으로 이룩하는 것을 말하는데, 화훼원예는 이들 원예식물 중에서도 그 종류가 과수나 채소와 같이 식용으로 하는 것이 아..
하이서울페스티벌 하이서울페스티발의 분석과 소개입니다.
하이서울페스티발 소개
2006.
2007.
2008
해외사례를 통해 보는 하이서울페스티발
하이서울페스티발의 발전방향
2003년 개최, 올해로 6회를 맞이한 서울시의 대표축제
=> ..
숭례문 숭례문
작품 소개의 이유
대한민국의 국보 제1호로써 역사적 가치와 의의가 매우 큼
수도의 성문으로 당당한 면모를 지닌 고려 말 조선초기 대표건축
현존하는 서울 목조건축 중 가장 오래되고 성문으로 규모가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자기방어기제와 관련 연산군일대기 자기방어기제와 관련 연산군일대기
Ⅰ. 서론
희대의 폭군으로 알려져 있는 조선시대 제10대 왕 연산군. 도저히 왕이라는 호칭을 붙일 수 없을 정도라 하여 후대의 사람들이 ‘군’이라고 기록을 남긴 것은, 그가 ..
연극 이 감상문 ◈ 전통예술 감상문
전통예술에 대해 관심조차 없던 나에게 전통예술 공연은 낯선 것들이 대부분이었기에 처음엔 막막하기만 했다. 가끔 텔레비전 채널을 돌리다가 판소리나 국악공연을 잠시 보긴 했지만 내가 직..
[여성사] 조선시대의 여성 - 차 례 -
Ⅰ. 서론 --- 1
Ⅱ. 본론
1. 조선 여성의 외양(外樣) --- 1
2. 조선시대의 여성관 --- 2
3. 가부장 사회 속의 여성 --- 2
(1) 무희와 첩
(2) 혼인 제도로 본 여성의 지위
(3) 결혼 생활과 ..
현대적 인사고과의 전개방향에 대하여 논하시오. 인적자원관리
: 현대적 인사고과의 전개방향에 대하여 논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인사고과의 개념
2. 인사고과의 목적
1) 적정배치
2) 능력개발
3) 공정처우
3. 인사고과 방법
1) 자기고과
2) 상급자에 의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