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이해] 취향에 대한 사회적 비판

1. [철학의 이해] 취향에 대한 사회적 비.hwp
2. [철학의 이해] 취향에 대한 사회적 비.pdf
[철학의 이해] 취향에 대한 사회적 비판
취향에 대한 사회적 비판

문화귀족의 칭호와 혈통은 소비되는 문화상품과 소비방식을 통해 드러난 교양된 성향과 문화적 능력은 다양한 문화실천과 학력자본, 출신계급 간에는 밀접한 연관관계가 존재한다. 학력자본의 수준이 동일한 경우 최고로 전통적인 문화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실천이나 선호의 설명체계에서 출신계급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한다는 점이다. 문화귀족의 칭호는 직업, 성별, 연령, 직업, 주거지 등의 독립변수와 변수에 의해 세분화된 집단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성향인 종속변수가 있고 통계학적 의미가 아닌 사회학적 의미작용을 검토해야 한다. 칭호의 효과는 특정한 계급을 지정하고 학위증의 암묵적인 규정 속에 명기되어 권의가 보장해주는 만큼 폭넓은 교양을 소유하고 있음을 보증해준다. 학력인 등급 구분에 의한 공식적 차이는 그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지지하고 있다는 믿음을 불어넣어 실제로 차이를 만들어내고 실제적인 존재를 공인된 존재와 일치시키려는 행동을 취하도록 만든다. 가정이나 학교에서 정통 문화를 몸에 익히거나 주입 받으면서 무의식적 학습이 이뤄지는데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문화적 실천들이 학력자격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변화하는 것은 학력자격이 일정한 생활조건을 짐작할 수 있게 하고 미학적 성향을 획득할 수 있는 전제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미적 성향인 작품의 이해나 평가는 소유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의도 자체는 역사적·사회적 상황에서 예술작품과 관계를 맺는 방식을 규정하는 실천적 규범과 이것에 적응할 수 있는 소유자의 예술적 훈련의 산물이기도 하기에 소유자는 무제한의 수용능력이 필요하다. 행복한 소수의 자기정당화적인 상상력인 구별 관계를 만드는 미학적 취향으로 무엇보다는 미적 동물인 인간을 순수하고 단순한 동물성과 감성적 쾌락이나 관능적 욕망으로 환원해버리는 야만적 취향을 만든다. 이와 반대로 순수취향은 세계에 대한 일상적 태도와의 단전을 함축하고 있어 사회와도 단절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