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작품 - 장끼전에 관해서

1. 판소리 작품 - 장끼전에 관해서.hwp
2. 판소리 작품 - 장끼전에 관해서.pdf
판소리 작품 - 장끼전에 관해서
장끼전

.장끼전이란
1.장끼전의 유래
2.주제, 갈래, 성격, 특징, 줄거리

.장끼전에 나타난 수절과 개가의 문제
1.조선후기 정절 이데올로기의 확산
2.[장끼전]에 나타난 수절과 개가

Ⅰ.장끼전이란

장끼전의 유래
<장끼전>은 원래 <장끼타령>이란 이름으로 불리던 판소리 작품의 하나였다.
판소리가 절정의 인기를 누리던 19세기 중반 무렵에는 ‘열두 마당’, 즉 12편의 작품이 공연되었지만 이후 인기를 얻지 못한 작품들이 없어지거나 흔적만 남게 되면서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수궁가>, <적벽가>의 ‘다섯 마당’으로 줄어들게 되었다. <장끼전>은 창을 잃은 ‘일곱 마당’ 중 하나에 속한다. 일곱 편의 작품이 창을 잃고 전승 과정에서 탈락하게 된 이유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바람직한 인물의 모습이나 인간다움에 대한 고민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추정해 볼 수 있다. 별칭으로 ‘웅치전(雄雉傳)’·‘화충전(華蟲傳)’·‘화충가(華蟲歌)’·‘화충선생전’·‘자치가(雌雉歌)’ 등이라고도 한다.

작자
-미상

주제
-조선시대 남존여비, 개가 금지 사상 비판(여성의 권익에 관심을 가짐)

주요 인물
● 장끼 - 봉건적 가부장 사회의 가장으로서의 권위, 위선 강조. 관념적. 지식이 높음(중국 고사 인용). 입신양명하의 영화를 누리고자 함.

● 까투리 - 서민의식 대변. 개성적, 현실적. 해박한 지식으로 남편에게 응수함. 개가하여 인간 본연의 욕구에 충실하려는 여성상을 보임. (의식은 조금 깨었으나, 전통적, 순종적 여성의 모습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함.)
☞ 대화를 통해 성격이 묘사됨.

갈래
-국문 소설
-의인체 우화 소설 : 인격화된 동물에 의해 사건이 진행됨. 작품 외적 세계에 대한 강한 우 의적 기능을 가짐.
-판소리계 소설 : 판소리 한 마당으로 불리다가 뒤에 소설로 정착됨.
-사회 소설 : 사회 부조리를 담음.(남존여비 사상, 개가금지 사상)

성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