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으로부터의질서

1. 혼돈으로부터의질서.hwp
2. 혼돈으로부터의질서.pdf
혼돈으로부터의질서
물리학 ; 혼돈으로부터의 질서

1. 시간의 재발견

2. 열역학의 등장

3. 새로운 물리학 - 엔트로피
.혼돈으로부터의 질서
.있음에서 됨으로 - 시간의 재발견

4. 현대우주론의 성립

자연은 결코 그 자체로 고정된 불변의 대상이 아닙니다. 자연이란 것도 알고 보면 그를 관찰하는 상황에 따라 혹은 주어진 관점이나 가치관 그리고 우리의 마음에 따라 얼마든지 탄력있게 모습을 바꾸어 갑니다. 시간이란 우리 모두가 겪는 실존적 경험의 기본요소이며 무척 본질적인 개념입니다. 그러나 근대물리학이 성립된 17세기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꽤 오랜 세월 동안, 시간이라는 것은 물질세계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려는 물리학과 이를 받아들이는 우리 일상개념을 서로 별개의 차원으로 구별시켜 버리는 분기점에서 보이지 않는 장벽의 노릇을 해 왔습니다. 왜냐 하면 기존 물리학의 자연법칙이 지배하는 세계, 곧 정태적인 세계에서는 ‘시간성’이라는 요소가 사실상 별다른 의미를 지니지 않기 때문입니다.

1. 시간의 재발견
물리학에 있어서 20세기는 정말 주목할 만한 격변의 세기였습니다. 20세기의 시작과 더불어 양자이론과 상대성이론을 비롯한 새로운 이론과 개념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우주는 하나의 시작을, 즉 역사를 갖고 있다는 사실도 규명되었습니다.
또 하나의 새로운 발견은 평형의 상태가 비평형의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는다는 이른바 ‘비가역성’이 있음으로 해서 자연계에는 매 순간 새로운 질서가 생겨나고 있다는 중대한 사실을 깨달은 것입니다. 우리는 일상생활을 통해 시간이란 한번 가면 되돌아올 수 없음을 압니다. 이처럼 시간이란 비가역적 입니다.
클라크와 라이프니츠의 토론내용을 살펴보면, 고전물리학의 기계론식 세계관은 결코 우연의 산물이 아니라는 사실이 아주 잘 드러납니다. 클라크는 뉴턴의 입장을 대변하는 목소립니다. 300년이 지난 오늘날도 이들의 관점은 흥미로운 대목이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