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굿판의 의미
1)굿과굿판
2)굿판의 성격과 구성요소
3)굿판의 종류와 구조
4)굿판의 기능
2.굿, 제의와 축제
3.결론
서론.
유럽에서는 양식화된 민속놀이가 축제 형식으로 발전 계승되고 있다는 사실이 민속학에서 지적디고 잇다. 그러나 우리의 제 의식들은 엄숙한 형식에 눌려 거기에서 유희적인요소를 발견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고 더우기 축제의 문위;기를 기대한다느느 것은 불경스럽기까지하다 축제의 민속을 잃어버린 우리는 제의가 끝난다음의 ‘난장 벌림’의 전주인 굿에서, 그 굿 놀이의 저변에 있는 분위기를 통해서 고대의 제천의식이 남겨준 향수같은 것을 읽는다. 우리에게는 많은 굿이 있다. 사라져가는 가신제적(家神祭的)인 재수굿이니 오귀굿으로부터 부락제 다음에 간추려지는 약식굿, 풍어제나 별실제에서의 열두마당 굿거리 등 많은 굿행위들이 미신행위라하여 근대화 과정에서 급격히 소멸되고 있으나 종교적 희구의 이미지, 기원 형태의 선취, 재연 형식을 통해 현장에서는 무당인 연희자와 동민이라는 관객이 하나의 의식과 공감으로 통일을 시켜준다.
서양의 연극의 양식과는 달리 연희자는 이제 종교적 권위의 집행자로서 군림한다는 의식은 전혀없고 관객이라는 공동체 구성원인 동민들을 즐겁게 “놀게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굿거리에서 발산되는 현장의 공감의 강도가 어디에서 유래하는지, 그것이 어떻게 해서 기층 문화권에 밀착되어 그들의 생명감을 대변해 주는지, 어떻게 하면 변화하는 사회, 현대의식에 소외되지 않게 이 민족적 특수성이 유지보존되면서 근원을 잃지 않는채 우리의 공감, 감응, 도취를 유지하게끔 변형의 근원이 될 수 있는지 미약한 만큼이나마 고찰해 보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2 본론
1. 굿판의 의미
1) 굿과 굿판
....
놀이문화로서의 굿에 관한 내용 놀이문화로서의 굿
“정월에 하늘굿을 드리는데 나라 사람들이 모두 크게 모여 며칠을 계속해서 술 마시고 밥먹고 노래부르고 춤추었다”, “나라 사람들이 무리를 지어 모여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어 술마시는 것이..
민족문화의 굿에 관한 내용 민족문화의 굿
머리말
인간의 삶은 일과 놀이로 구성된다. 생산이나 창작 혹은 어떤 실제적인 이득을 위하여 몸과 마음을 쓰는 것을 일이라 하며, 여가나 휴식, 예술 감상이나 종교적 기원, 혹은 어떤 오락을 ..
문화적 지배와 종교적 저항 문화적 지배와 종교적 저항
-산업화 시기 민속담론의 작동원리와 실천 양상-
1. 머리말
60년대 이후 한국사회는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근대화 내지 자본주의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조..
[예체능] 풍물굿의 지역별 특징 풍물굿의 지역별 특징
1. 풍물굿
⑴ 풍물이란
풍물이란 풍장․두레․매구․굿․풍물놀이․풍물굿 등 지역마다 다르게 불
리웠었고, 일본 강점기에 일본의 가면극 노가꾸(能樂)의 영향으로 원각사의
협률사라는 단체..
한국의 전통문화축제 조사 분석 - 통영한산대첩 축제 한국의 전통문화축제 조사 분석
(통영한산대첩축제)
1.축제 개관(2010년도 기준)
1)제목 : 통영한산대첩축제 [검(劍), 장군의 검]
2)일정 : 2010. 8. 11(수)∼15(일)/5일간
3)장소 : 문화마당, 이순신공원 등 ..
21세기를_앞둔_한국_전통예술의_과제 21세기를 앞둔 한국 전통예술의 과제
대학에 들어오기 직전 오리엔테이션에서 본 설장구, 사물놀이등이 기억에 남았던 나는 입학 후에 풍물패에 들게 되었다. 1년동안 여러 가지를 배우고, 익히고, 느끼고, 감탄..
굿 서론. 굿이란 무엇일까 굿은 과연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일까 이런 의문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모두 생각해 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가톨릭 신자라는 이유만으로도 굿이란 단순히 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