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NGMAL

1. JONGMAL.hwp
2. JONGMAL.pdf
JONGMAL
        그 리 스 도 교 의  종 말 론
                            (신대원2학기 김학현)

 초기 기독교의 종말론은 후기 유대교의 역사를 종말론화하는 비역사적 묵시문학적 종말론에 영향을 받았다.
 누가는 사도행전에서는 '하나님 나라'가 예수 그리스도의 선포와 깊은 관련을 갖는다.또한 미래에 이루어질 하나님 나라를 말한다.(14:22) 누가복음에서는 전통적 종말론을 역사화시켜 구원사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그리하여 재림의 지연을 긍정적으로 다룬다(콘첼만)고 했다.그러나 이런 콘첼만의 의견은 비판받게 되어,누가는 종말의 긴급성을 말하고 있으면서도 종말이 금방오리라고는 생각지 않았다.(눅19:11,10:9,21:31-32) 그리하여 인자가 올 것을준비하고 있어야 했다.(18:1-8,12:40)
 바울은 그의 글들에서(살전4:16-17,고전15:51-52, 고후5:10) 유대교의 묵시문학적 종말론의 흔적을 보이고 있으며,기독교 공동체가 이스라엘 해방사의 목표의 완성이라 생각했다.바울은 종말론을 초역사적으로 이해하여 근거를 그리스도의 사건에 둔다.그리하여  그리스도의 사건은 초역사적인 종말론적 케리그마가 된다.기도교인들에게 있어 세계는  타향이며 자신을 정결하게 지켜나가는 데만 의미가 있어 권력에 복종해야 하는 것이다.여기에는 당국의 비위를 거스려서는 선교할 수 없다는 생각이 깔려 있는 것이다.베드로도 같은 입장이다.(벧전2:13-14)
 바울의 역사의 종말론화는 그렇다고 완전한 탈역사는 아니고,종말론적 사건을 개인의 실존에서 내면화한 '실존적 역사성'이다.그리하여 악의 권력에 대한 저항을 와해시키는 반역사적 행동을 정당화한다.
....
인문, 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