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론과 실체관

1. 인식론과 실체관.hwp
2. 인식론과 실체관.pdf
인식론과 실체관
칸트의 인식론

칸트의 인식론은 크게 두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보아야 한다. 첫째는 인식의 내용이고 다른 하나는 인식의 형식이다. 인식 내용의 소재는 인식 능력의 수용성으로서의 감성을 통해서 받아들여지는 것이다.또 표상을 얻는 이 감성형식에는 두가지로 분류된다. 그 하나는 외적 대상에 대한 표상을 얻는 외적 직관형식, 즉 공간과 내적 대상에 대한 표상을 얻는 내적 직관형식, 즉 시간이 있다. 우리는 이 시간과 공간이라는 감성 형식을 통하여 인식의 소재, 즉 내용을 얻지만 이러한 내용으로서의 표상은 단지 잡다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것이 그대로 인식이 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감성에 의하여 받아들여진 인식의 소재들은 종합, 통일되어야 한다.이 종합과 통일은 인간의 자발적 사유능력, 즉 자발성으로서의 오성에 의해, 즉 다른 하나의 선천적형식인 오성형식, 혹은 사유형식에 따라 이루어진다. 칸트는 이러한 형식을 순수오성개념 이라 부르고 12개로 분류하였다.이러한 감성과 오성은 모든 인식 작용의 두가지 요인이며, 칸트에 의하면 우리들에게는 알 수 없는 그러면서도 하나의 공통된 뿌리로부터 발생한 인식의 두 갈래 줄기라고 하였다. 결국 인식은 감성의 직관과 오성의 개념이라는 두 구성 요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우리들의 인식 소재를 감성의 시간과 공간이라는 형식에 의해 종합하고, 그것을 다시 오성의 범주에 의하여 통일함으로써 인식은 성립한다고 할 수 있다.
....
인문, 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