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안석

1. 왕안석.hwp
2. 왕안석.pdf
왕안석

Ⅰ. 서 론

오대(五代)를 거친 후 중국을 통일한 조광윤(재위 960~976)은 절도사(節度使)와 번진(藩鎭)1)1) 송의 군제를 보면 금군(禁軍), 상병(廂兵), 향군(鄕軍), 번병(番屛)으로 조직되었다. 이 가운데 금군은 황제 근위병이었다. 상병은 지방군으로 각 주에 분산되어 있었으며, 전투부대는 아니었고 수송과 보급 등 군수업무를 담당하였다. 향병은 일종의 민병으로 향촌의 경비를 담당하였고, 번병은 이민족출신으로 구성되었는데 서북의 국경지대에 많이 배치되었다. 이중 실제적 전투능력을 갖춘 부대는 중앙의 금군뿐이었다. 또한 군의 통수권은 철저히 황제가 장악하였다. 금군과 상병으로 구성된 송의 군제는 중앙군의 강화와 지방군의 약화를 기본으로 하였는데 이는 강력한 금군을 중앙의 황제 직속 하에 두어 지방군의 반란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 ≪동아사상의 보수와 개혁≫ p.187
을 해체하고, 황제중심의 중앙집권제의 확립을 위해 문치주의(文治主義)를 지향했다. 이것은 군주통치권의 확립과 강화를 굳건하게 했지만 군사력 약화를 초래하여 주변 북방 유목 민족의 침입과 수모를 겪게 하였다. 또한, 한편으로는 관료들의 정치관 차이와 대립, 출신지와 학벌에 의한 붕당(朋黨)을 지어 당쟁(黨爭)을 유발하게 한다.2)2) 이정현, 「왕안석의 개혁이념과 신법의 실행」,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논문 2000. p.1
그 결과 북송은 정치․경제․사회․군사적으로 여러 폐단이 심각해져 갔으며, 지배층은 자신들의 이익에만 급급한 나머지 백성들의 원성에 귀기울이지 않았다.
이 같은 국가적 위기와 굴욕적인 상황은 송대 지식인들에게 정치쇄신과 부국 강병책을 포함하는 개혁을 모색하게 하지만, 대부분 큰 성과 없이 좌절되고 만다. 이 때 등장한 왕안석(王安石, 1021~1086)은 급진적이고 투철한 신법으로 국가적 위기를 타개하고자 하였다. 그런 그의 정책에 대한 평가는 논자에 따라 비판적이기도 하고 호의적이기도 한데 이 두 입장은 극단적으로 서로 다른 면을 갖고 있다.
....
인문, 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