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본 실험은 HFC계열 냉매의 수평원관내 열전달에 관한 연구를 화상처리기법을 이용한 온도장 측정을 통해 수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시험부의 온도 열유속, 질량유속 등을 변화시켜가면서 유동 증발 열전달의 여러 가지 특성, 즉 압력강하, 온도변화, 열전달계수의 변화, 유동형태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주로 열전달계수를 알아내는데 주안점을 둘 것이다.
그렇다면 열전달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대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우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열전달식을 살펴보면,
이 식에서 우리가 열전달계수를 알기위해서 구해야 할 것은 즉, 내벽의 온도와
즉, 냉매의 포화온도이다. 유속 q″는 실험시 슬라이닥스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쉽게 정할수 있다.
여기서 는 시험부 각 부분에서의 압력과 에너지 보존에 의해 계산된 건도로부터 상태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될수 있다. 우리가 중점적으로 신경써야 할 부분이 바로 내벽온도의 측정인데, 시험부에 열전대를 부착하여 측정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을수 있지만 우리는 화상처리기법을 사용하여 측정하도록 하였다.
※HFC(hydrofluorocarbon)냉매:종래에는 안정된 화학적 성질과 뛰어난 열역학적 성질을 가진염화불화탄소(chlorofluorocarbon:CFC)나 염화불화탄화수소(hydrochlorofluorocarbon:HCFC
)가 널리 쓰였으나 최근 이들이 지구의 오존층을 파괴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짐에따라 사용이 규제되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대체냉매로 제시되게 된 것이 바로 HFC계열의 냉매이다.
냉동공학 3장 -2 15. 탄화수소계 냉매의 장단점과 적용분야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오존층 파괴 지수 0(zero)이고, 지구온난화 지수가 매우 낮다.
~ 열역학적 특성은 우수하나 가연성이 높다.
~ 냉매액의 비체적이 크기 때문에 동..
냉매배관과_수분_혼입_영향-new4151 냉매배관과 수분 혼입 영향
1. 관내 수분(管內水分)의 영향
냉매계통에 수분이 혼입되면 냉동장치의 성능과 수명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수분이 혼입되지 않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
2. 유리 수분(遊..
청정소화약제 청정소화약제(HFC23, FC 2-1-8)
차례
개요
청정소화약제의 구비조건
청정소화약제의 고려사항
청정소화약제의 종류
HFC23
FC 2-1-8
청정소화약제란 소화시 기화로 인한 잔여물을 남기지 않으며 전기적으로는 비..
기계공학실험 - 관수로, 열전달 실험 기계공학실험 - 관수로, 열전달 실험
1. 실험목적
이번 실험은 여러 가지 관내에서의 유량에 따른 손실을 관로 내의 흐르는 유체의 현상을 마노메타를 통하여 측정하여 덤프에서 들어오는 유량과 시스템 내에 ..
실험보고서 - 냉동 사이클 실험 냉동 사이클 실험
실험 목적
냉동 기관의 작동 원리를 알아본다.
냉동 사이클의 구성품을 조사하고 이해한다.
냉동 사이클의 장치 개략도를 이해한다.
냉동 사이클의 P-H선도를 그려본다.
이 P-H선도를 이..
냉동공조에너지실험 - 단단 압축 냉동사이클 실험 1. 실험 제목
단단 압축 냉동사이클 실험
2. 실험 일시, 날씨, 온도
일시 :
날씨 :
온도 : -평균기온:11.5℃
-최고기온:15.1℃
-최저기온:5.8℃
3. 공동실험자의 이름
4. 실험 ..
2025 현대위아 설계제어 냉각수냉매 모듈 개발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이와 관련해, 저는 3학년 캡스톤 프로젝트로 'EV용 통합열 관리 모듈' 설계과제를 진행하며, 냉각수와 냉매회로의 배관 설계, 유량·온도제어 알고리즘 개발, 각종 센서 데이터 연동 등 다양한 세 부기술을 직접 다..
열교환기 설계1주차 (냉장고 증발기) 열교환기설계
- 냉장고 증발기
목 차
5. 설계 결과 및 고찰
4. 열교환기의 설계
3. 열교환기와 작동유체의 선정
2. 냉장고의 원리와 구조
1. 설계배경 및 목적
1. 설계배경 및 목적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
열교환기설계 2차 발표 (창문형 에어컨 증발기) 창문형 에어컨 증발기 설계
Contents
냉매명명법
기존냉매와 대체냉매의 비교
- R-410A냉매 선정배경
장점
- 냉동사이클
오존층 파괴
오존층 파괴원리
오존층 파괴요인
기존냉매 - 규제내용
프레온계 냉매의 ..
나노유체 열전달에 대해 나노유체 열전달 관련 최근 연구 동향
세계 최초로 나노유체를 이용한 ‘이성분 나노유체(Binary nanofluid)’를 개발하는 데 성공해 흡수식 냉동기의 소형화와 에너지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