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공업화와 재벌형성

1. 한국의 공업화와 재벌형성.hwp
2. 한국의 공업화와 재벌형성.pdf
한국의 공업화와 재벌형성
━━━━━━━━━━━━━━━━━━━━━━━━━━━━━━━━━━
한국의 공업화와 재벌형성
━━━━━━━━━━━━━━━━━━━━━━━━━━━━━━━━━━

I. 序

- 한국기업의 근원에 대한 탐구.
발생사에 대한 관심이 그간의 연구에서 제자리 매김을 하지 못한 이유는 한국의 정치상황과 밀접한 관련.
기생적·착취적·매판적 기업집단으로서의 인식과 비경제적 규정속에서 기업가들의 행동양식에 대한 인식도 부정적으로 형성되어 옴. 굳이 진보진영이 아니더라도..
-그러나 세계경제에서의 한국경제의 위상 기업의 위상을 보더라도 형성사에 대한 면밀한 점검과 자기비판, 체질개선등이 전제되지 않으면 안될 시점.
최근 정치상황, 재벌규제와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상반된 목표에 대한 정부정책의 혼란상을 정리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국의 시장경제체제의 형성과정은 여러가지 경제외적 요인, 제도, 법률등의 장치가 구비되는 과정에 발맞추어 설명되어야 함. 한국형의 경제시스템이 형성되어가는 동태적 국면을 개념의 무리한 설정 없이 담을 수 있는 ‘공업화’ 사용. 이 과정의 주도층으로서 재벌과의 상호작용 검토.
II. 기업가의 출현과 초기공업화의 조건
- 기업의 출현, 곧 근대적 기업활동의 출발기점을 언제부터로 볼 것인가. 재벌발생의 원점을 해방전으로 거슬러올라갈 수도 있지만 식민지경제에서 점하는 지위가 큰 것은 아님. 삼성은 대구의 양조업자, 쌍용은 대구의 석탄업자,럭키는 진주의 직물상, 삼호는 대구의 구두제조업자. 1980년 도산한 동명목재는 창립시기가 대정말기였지만 부산에서 목재업 경영. 일본의 패전 이후 식민지기의 물적 자산이 민간에게 불하되는 과정을 통해 초기부터 독점적 기업가가 생성됨. 분단과 전란을 통해 공업구조의 기형성,의존성을 특징으로 하는 독특한 경제구조가 등장.
....
경영,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