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학교보건교육은 학교보건 사업의 발전과정에 따라 그 개념 및 범위가 변화해 왔다. 학교보건프로그램은 전통적으로 학교보건서비스(Health Service), 학교보건교육(Health Education), 학교환경(Healthful School Environment)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 학교보건교육의 첫 시작은 학교보건프로그램의 독립적인 한 영역이 아니라 학교보건 서비스를 제공할 때 학생 및 교직원 건강관리의 보조수단으로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학생들에게 예방 접종을 실시하기 전에 실시될 예방 접종의 필요성이나 이에 관련된 전염병의 특성 및 예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는 특별한 행사로 계획되어져 보통 양호교사에 의해 실시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학교보건서비스 및 학교 환경관리와 학교보건교육을 완전히 분리시켜 학교보건서비스 및 환경관리는 보건사업의 일환으로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과 학교환경을 관리하는 것으로 이해하였고, 학교보건교육은 교육사업의 일환으로 정규 교육과정에서 다루었다. 학교보건사업은 학생의 교육적 성취를 위하여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을 돌보기 위한 학교보건서비스를 제공하고 학교환경관리를 하는 것으로 이해되었고, 학교보건교육은 보건관련교과를 통하여 체육, 생물, 가정 등의 교과목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졌다. 그러므로, 학교보건사업은 양호교사가, 학교보건교육은 체육교사, 생물교사, 가정교사가 담당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학교보건서비스 및 학교환경관리와 학교보건교육을 모두 통합하여 학교보건교육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즉 학교보건서비스, 보건교육, 학교환경관리를 포함한 학교보건프로그램은 학교보건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실시됨을 말한다.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증진을 위해 별도로 이루어지던 각 활동을 체계적으로 연계함으로써 학생의 건강증진을 도모하여 궁극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교수학습,교수방법,교수체제,교수모형,교육방법론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레포트]
Part 1.
10가지 모형에 대한 정리
Part 2.
딕과 케리의 교수체제설계모형에 대하여
Part 1.
10가지 모형에 대한 정리
[ 목 차 ]
1. ADDIE 모형
2. 브릭스(Briggs)의 학교중심..
외국(미국, 일본, 스웨덴)의 보조공학 정책 외국(미국, 일본, 스웨덴)의 보조공학 정책에 대한 레포트 자료.
외국(미국, 일본, 스웨덴)의 보조공학 정책
목차
외국의 보조공학 정책현황
I. 미국
II. 일본
III. 스웨덴
* 참고문헌
...(이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