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학교보건교육은 학교보건 사업의 발전과정에 따라 그 개념 및 범위가 변화해 왔다. 학교보건프로그램은 전통적으로 학교보건서비스(Health Service), 학교보건교육(Health Education), 학교환경(Healthful School Environment)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 학교보건교육의 첫 시작은 학교보건프로그램의 독립적인 한 영역이 아니라 학교보건 서비스를 제공할 때 학생 및 교직원 건강관리의 보조수단으로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학생들에게 예방 접종을 실시하기 전에 실시될 예방 접종의 필요성이나 이에 관련된 전염병의 특성 및 예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는 특별한 행사로 계획되어져 보통 양호교사에 의해 실시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학교보건서비스 및 학교 환경관리와 학교보건교육을 완전히 분리시켜 학교보건서비스 및 환경관리는 보건사업의 일환으로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과 학교환경을 관리하는 것으로 이해하였고, 학교보건교육은 교육사업의 일환으로 정규 교육과정에서 다루었다. 학교보건사업은 학생의 교육적 성취를 위하여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을 돌보기 위한 학교보건서비스를 제공하고 학교환경관리를 하는 것으로 이해되었고, 학교보건교육은 보건관련교과를 통하여 체육, 생물, 가정 등의 교과목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졌다. 그러므로, 학교보건사업은 양호교사가, 학교보건교육은 체육교사, 생물교사, 가정교사가 담당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학교보건서비스 및 학교환경관리와 학교보건교육을 모두 통합하여 학교보건교육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즉 학교보건서비스, 보건교육, 학교환경관리를 포함한 학교보건프로그램은 학교보건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실시됨을 말한다.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증진을 위해 별도로 이루어지던 각 활동을 체계적으로 연계함으로써 학생의 건강증진을 도모하여 궁극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교수학습,교수방법,교수체제,교수모형,교육방법론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레포트]
Part 1.
10가지 모형에 대한 정리
Part 2.
딕과 케리의 교수체제설계모형에 대하여
Part 1.
10가지 모형에 대한 정리
[ 목 차 ]
1. ADDIE 모형
2. 브릭스(Briggs)의 학교중심..